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819
이칭/별칭 때비,떼비,다비,보섭,담비,쌍깔레,쌍벤줄레,가름따비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김동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생산|제작처 따비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지도보기·덕수리지도보기
성격 농기구
재질 철제
용도 땅을 일구는데 사용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서 굳은 땅을 일구거나 나무를 캘 때 사용하던 도구.

[개설]

따비는 척박한 땅을 일구어 농지를 개간할 때 주로 사용하였다. 특히, 자갈과 돌이 많아서 쟁기로는 도저히 갈 수 없는 곳을 일구었던 도구로, 제주에서는 육지에서 주로 사용하던 말굽쇠형 따비는 사용되지 않았다.

자주 쓰는 농기구도 아니고 비싸기도 해서 마을 사람들끼리 ‘계따비’를 조직하여 공동으로 구입하고 관리하였다. 지역에 따라 ‘때비’·‘떼비’·‘다비’·‘보섭’·‘담비’·‘쌍깔레’·‘쌍벤줄레’·‘가름따비’등으로 불렸다.

[연원 및 변천]

따비가 언제부터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3~4세기경에 청동기 시대부터 따비를 쓰는 모습이 나타났고, 철기 시대 유적 및 낙랑군의 고분에서 출토된 따비쇠와 따비쇠 그림이 있는 전(塼)을 통해 오래 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확인된다.

[형태]

따비는 ‘웨따비’·‘쌍따비[’남따비‘라고도 한다]’ 2종으로 구분된다. 4~5kg 정도 무게의 ‘웨따비’는 '양주머리’·‘무클[몽클]’·‘발받침’·‘따비쇠’가 전체적으로 T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따비쇠’가 주걱처럼 생겨 주걱형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자갈이 많은 한림, 애월 등 서쪽 지역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8~9kg정도 무게의 ‘쌍따비’는 ‘록[숫]’·‘발디딤[버덕]’·‘설칫’·‘탕게무클[가달]’·‘따비쇠[요리]’가 전체적으로 포크나 코끼리 이빨처럼 생겼다고 하여 포크형, 코끼리 이빨형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각 부분의 길이를 보면 손잡이인 양주머리는 51~56cm, 따비쇠는 27~34cm 정도이며, 전체 길이는 101~114cm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따비는 돌이 많은 화산섬인 제주의 특징을 반영한 농기구이다. 보통 두세 사람이 횡을 맞추면서, 손잡이를 잡고 발판을 밟아 삽질하듯 손잡이를 뒤로 눌러 떠엎거나 손잡이를 옆으로 비틀어서 땅을 일구었다. 이처럼 척박한 땅을 삶의 터로 일구기 위해 사용하였던 도구로서 당시의 노동 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안덕면 감산리에서는 ‘웨따비’를 사용하였는데, 발받침을 발로 밟아 날 끝을 땅에 박아 뒤쳐서 땅을 일궜다고 한다. 또 안덕면 덕수리에서도 마을 위쪽에 산전(山田), 혹은 곶밭·선장이라고 하는 곳을 개간하기 위해서 ‘웨따비’를 사용했다고 한다. 이곳에서 따비로 일구고 팥과 면화를 경작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