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821
한자 任徵夏
이칭/별칭 성능(聖能),서재(西齋),충헌(忠憲)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재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687년연표보기 - 임징하 출생
활동 시기/일시 1713년 - 임징하 진사시 합격
활동 시기/일시 1714년 - 임징하 증광병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717년 - 임징하 가주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21년 - 임징하 지평 임명
활동 시기/일시 1725년 - 임징하 평안도 순안으로 유배됨
활동 시기/일시 1727년연표보기 - 임징하 대정현 감산리로 이배됨
활동 시기/일시 1729년 - 임징하 서울로 이송
몰년 시기/일시 1730년연표보기 - 임징하 옥사
출생지 임징하 출생지 - 충남남도 아산시
유배|이배지 임징하 유배지 - 평안남도 평원
유배|이배지 임징하 이배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감산리 지도보기
성격 문신|유배인
성별
본관 풍천
대표 관직 장령

[정의]

조선 후기 제주 대정현 감산리에 유배된 문신.

[가계]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성능(聖能), 호는 서재(西齋). 아버지는 집의(執義) 임형(任泂)이며 할아버지는 임홍망(任弘望)이고 증조부는 임환(任喚), 외조부는 이의저(李義著)이다. 할아버지인 임홍망은 1680년(숙종 6년) 제주 목사를 지냈고 부인은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의 폐출을 반대한 이유로 제주목에 유배된 김진구의 딸이다. 그리고 처남인 김춘택 역시 1706년(숙종 32) 폐비 윤씨 복위 운동으로 유배되었다.

[활동 사항]

1713년(숙종 39) 진사가 되고 이듬해 증광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717년 가주서를 거쳐 1721년(경종 1) 지평(持平)·사간원 정언 등을 지내다가 신임사화로 삭직당하였다.

1725년 노론이 다시 집권하자 장령(掌令)으로 기용되었고, 6개조의 소를 올려 탕평책을 반대, 소론 제거를 주장하다가 평안도 순안에 유배되었으며, 1727년 소론이 집권하면서 대정현에 위리안치(圍籬安置)[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되었다. 1727년 8월 17일에 별도포로 입도하여 8월 19일 주성(州城)에 들어와 홍상민의 집에 머물렀다. 귀양살이 하는 곳은 처음에는 죄수 강세진(姜世珍)의 집이었으나 냉대하자 고제영(高濟英)의 집을 귀양살이 하는 곳으로 정했다. 임징하안덕면 감산리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지방의 자제와 유생을 모아 가르치며 정성을 다하여 후진들을 양성했다.

대정현에서 유배 생활을 하던 임징하는 1729년 사헌부의 요청으로 서울로 이송되어 다시 역모의 죄명으로 친국을 받을 때 끝까지 왕의 각성을 촉구하며 항거하다가, 언관을 벌주면 안 된다는 전통에도 불구하고 왕권의 확립과 국가기강을 세운다는 명분으로 여덟 차례의 고문 끝에 옥사하였다. 정조 때 관직이 복구되고 이조 참판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서재집』이 있다.

[학문과 저술]

임징하가 저술하고 임헌회가 간행한 『서재집』은 권1·2에는 시 317수, 권3·4에는 소 7편, 계(啓) 7편, 공장(供狀) 1편, 권5·6에는 서(書) 56편, 기 1편, 잡저 5편, 제문 9편, 고문(告文) 3편, 애사 1편, 권7에는 묘지명 1편, 행록 1편, 권8에는 부록으로 연보·가장발(家狀跋) 등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권6 잡저에는 평안도 순안에서 제주도 대정현으로 이배되는 일정과 노정이 상세하게 기술되어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충헌(忠憲)이며, 정조 때 관직이 복구되었고 이조참판에 추증되었다. 5대손인 임헌대(任憲大)가 1862년(철종 13) 제주 목사로 부임하여 서재 임선생 적려 유허비를 세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