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201
한자 離於島綜合海洋科學基地
이칭/별칭 이어도기지
분야 정치·경제·사회/과학 기술
유형 지명/시설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주강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과학기지
면적 1,300여㎡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남쪽의 수중섬 이어도에 있는 무인 종합 해양 과학 기지.

[개설]

신화와 과학이 만나서 새로운 이어도를 탄생시켰다.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첨단 해양과학기지’란 설명이 붙은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Ieodo Ocean Research Station)가 그 곳이다. 신화는 현실일 수도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해도에 소코트라 등으로 명기된 이어도의 실체가 드러났다. 마라도에서 남서쪽 149㎞ 떨어진 수중 암초로 주변 수심은 55m, 암초의 정상은 해수면에서 4.6m에 불과하다. 그곳에 세운 과학기지를 뜻한다.

소코트라파랑도라 하는 암초로 1900년 6월 5일 밤 9시 40분경 영국 상선 소코트라(Socotra)호가 이 암초에 부딪치면서 소코트라란 명칭이 해도에 오른다. 1868년에 영국 코스타리카호가 이곳에서 미확인 암초를 발견하고 측량선을 보낸 적이 있었는데 32년이 흘러서 사고가 난 다음에야 본격 탐사를 한 것이다. 일본인들이 해도에 파랑도(波浪島)로 올리면서 일각에서 파랑도로 불리기도 하였다.

소코트라의 솟구친 봉우리는 작은 면적이지만 해저 지형은 남북 500여 m, 동서 750여 m, 넓이 27.5m²에 달한다. 망망대해에 이만한 넓이의 해산(海山)이 수중에 솟구쳐 있다. 망망대해에서 수심 40m는 사실 얕은 곳이기도 하다.

[건립 경위]

이어도에 해양 구조물을 설치하여 종합 해양 과학 기지로서 활용하고, 또한 서해 남부 해역의 해양 및 기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해양·기상·어장(漁場) 예보의 적중률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지구 환경 문제와 해상 교통 안전, 해난 재해 방지에 필요한 핵심 자료를 제공하고자 건립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적중률 높은 기상·해상 예보를 통하여 자연재해를 최소화시키고, 동북아시아 해양 관측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 및 한국의 주도적 참여를 이끌고자 한다. 그리고 등대·해난구조 및 안전 항로 항복 등 복합적인 해상 안전 시설물로서 활용할 것이다. 인접국과는 배타적경제수역[EEZ]·대륙붕 경계 획정 협상에 따른 해양 영역의 확대와 배타적 권리 장의 실리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변천]

1900년 영국 상선인 소코트라호가 처음 발견하여 그 선박의 이름을 따 국제적으로는 소코트라 암초(Socotra Rock)라 불렸다. 1910년 영국 해군 측량선 워터위치(Water Witch)호에 의해 수심 5.4m의 암초로 알려졌다.

1938년 일본이 해저 전선 중계 시설과 등대 시설을 설치할 목적으로 직경 15m, 수면위로 35m에 달하는 인공 구조물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태평양전쟁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1951년에는 국토 규명 사업을 벌이던 한국사학회와 해군이 공동으로 이어도 탐사에 나서, ‘이어도’라고 새긴 동판 표지를 수면 아래 암초에 가라앉히고 돌아왔다. 그 후 1945년 제주대학교와 KBS 파랑도 학술탐사팀이 암초의 소재를 다시 확인한 바 있으며, 1986년에는 수로국[현 국립해양조사단] 조사선에 의해 암초의 수심이 4.6m로 측량되었다. 1987년 해운항만청에서 이어도 최초의 구조물인 이어도 부등표를 설치하여 이 사실을 국제적으로 공표하였다.

그 후 이어도종합해양과학기지는 총 212억 원의 사업비를 통해 1995년에 착공하여 2003년에 완공되었다. 해양수산부가 주도하여, 한국해양연구원이 사업을 수행하다가 이후 무인 관측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확인되자 2007년부터는 국립해양조사원으로 이어도 기지의 운영·관리 권한이 이관되었다.

[구성]

무인 해양 과학 기지로서, 평상시에는 풍력·태양광 발전을 이용해 전원을 공급하고, 전력이 부족할 때나 연구원 등이 잠시 거주할 때는 비상용 디젤 발전기가 자동적으로 작동돼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무궁화 위성 통신을 이용해 기온·풍향·풍속·파랑·조위(潮位) 등 정상 관측 자료를 실시간을 송신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갖추었다.

관측 자료는 한국해양연구원으로 전송된 뒤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고 있다. 2003년 14호 태풍 매미가 엄습했을 때, 상륙 열 시간 전부터 위력을 경고해 자연재해 감소에 큰 역할을 했다.

2층 자켓 구조물 외에 헬리콥터 이착륙장, 등대·관측탑·통신탑·태양광 발전 장치·풍력 발전 장치·공기 조화기·담수 탱크 등의 시설을 옥상에 갖추었고, 디젤 발전기·화재 경보 시설·연료 탱크·오폐수 처리 시설 등이 있다. 기지에는 연구원 8명이 2주간 상주할 수 있다.

[현황]

연면적 1,300여 ㎡이며 높이는 36m 정도이다. 위치는 북위 32.07°, 동경 125.10°이다. 한국의 최남단인 마라도에서 서남쪽으로 149㎞ 정도 떨어져 있으며, 일본 나가사키현 도리시마에서 서쪽으로 276㎞, 중국의 서산다오[余山島]에서 동북쪽으로 287㎞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도는 수중 암초 지대로 가장 얕은 곳은 해수면 아래 약 4.6m이며, 수심 40m를 기준으로 하여 남북으로 약 600m, 동서로 약 750m에 이른다. 남쪽과 동쪽은 급경사를 이루며, 북쪽과 서쪽은 비교적 완만하다.

이어도종합해양과학기지는 종합 해양, 기상 관측소, 인공 위성에 의한 해양 원격 탐사자료 검·교정, 지구 환경 변화의 핵심 자료 제공, 태풍 구조 및 특성 연구, 어·해황 예보 및 지역 해양 연구, 황사 등 대기 오염 물질 이동 및 분포 파악, 불량한 기상 상태에서 해양 구조물의 안전성 연구, 안전 항해를 위한 등대 및 수색 전진 기지 역할 등을 해내고 있다. 모든 것은 원격 관측 제어 시스템으로 돌아간다. 우주와 해양이 하나로 연결되고, 또 육지로 전달되어 24시간 쉬지 않고 돌아간다. 첨단 과학 기술의 노하우가 총동원되고 있다. 사실 수심 40m의 거친 바다에 수천 톤이 넘는 거대한 골리앗 기둥이 당당하게 선 것만으로도 우리의 기술력을 입증한다.

기지의 역할은 과학적 목적을 뛰어넘어 국방·영토상으로도 중요하다. 비행기에서 바라보면 망망대해에 작은 점 하나로 보인다. 수중 암초가 과학 기지 건설을 통해 하나의 섬으로 ‘승격’되었고, 사람이 상주할 수도 있다. 국제 해양법상 이 점은 매우 중요하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정** 일본과 중국 모두 하는 영해확장 방법인데, 우리는 왜 못하는가?
빨리 서둘러야한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3
정** 카타르에 인공섬을 만들 정도의 기술을 보유한 대한민국
제 7광구를 포기하지 말고 이어도에 인공섬을 만들면 200해리 안에 들어온다.
일본의 꼼수에 세월만 보내지 말고 빨리 시멘트를 붇고 7광구를 단독으로 개발해야 한다.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0.07.22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