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분양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793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김동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공예
재질 대나무
용도 갓에서 햇빛을 가리기 위한 부품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서 쓰이던 것으로, 갓의 부분품으로 차양(遮陽)의 역할을 하도록 만든 원반형의 죽공예품.

[개설]

고분양태라는 말은 곱게 만든 ‘양태’라는 말로, 제주에서 나는 ‘양죽’을 이용하였으나 양죽이 없어진 이후에는 경상남도 하동과 진주에서 분죽(粉竹)을 구입하여 이용하였다고 한다. 양태는 ‘쌀’[날대]이나 빗대의 수효 및 '을대’ 도리의 수효가 많을수록 상품(上品)으로 여겼다. 이들 양태는 정도의 따라 ‘고분양태’, ‘상계량’, ‘중계량’, ‘하계량’, ‘재량’으로 구분하였으며, 가격도 달랐다.

[형태]

갓은 대나무로 만든 ‘양태’와 말총으로 만든 ‘총모자’를 조합하여 만들게 된다. 특히 원반형의 양태를 겯는데 쓰이는 대오리를 ‘을대’라고 하는데, 최상품인 고분양태의 ‘을대’ 도리 수는 90이고 최하품인 재량인 경우 40도리이다. 양태판 위에서 면사 두 가닥을 새끼 꼬듯 돌리며 오른 쪽과 같이 쌀 500개 정도를 둥글게 엮는다. 쌀 500개 정도가 둥글게 안 쪽으로 묶여 고정이 되면, 쌀 사이를 대로 엮어 나가는데 앞대와 다음 대는 쌀을 넘고 들어가고 할 때 서로 상반되게 엮어 나간다.

쌀을 엮어 나가는대는 보통 90개 정도인데 30개 정도는 아주 가는 것, 30개 정도는 그 보다 약간 굵고 30개 정도는 약간 더 굵은 것으로 분류되어, 살을 엮는 대는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점차 굵은 상태가 된다. 다음 빗대는, 대가 쌀을 넘고 끼어 사각형 형태를 이룬데다 대각선 상태로 곡선을 이루며 대 사이를 머럭으로 찔러 꽂아 나간다. 이렇게 양태작업이 끝나면 갓풀[아교풀]을 묽게 끓여 그 풀물에 담궜다가 볕에 말린다. 빳빳하게 마른 후에 가장자리 가칠한 부분[쌀]을 잘라 내면 양태 공정이 끝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갓은 서귀포를 포함한 제주에서 생산되는 공예품 중에서 가장 애용되었던 민속품 중의 하나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갓이라는 완제품의 형태뿐만 아니라 ‘양태’와 ‘총모자’의 부분품의 형태로도 수출되었음을 여러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주의 옛 산업의 형태를 알 수 있는 자료로서 고분양태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