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806
이칭/별칭 남태,남테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고광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농기구
재질 목재
용도 밭을 다지는데 사용

[정의]

서귀포 지역에서 씨를 뿌린 다음 밭을 단단히 다져 놓기 위해 사용하는 농기구.

[개설]

제주도는 화산회토가 많아 ‘뜬땅’이라 할 정도로 땅이 푸석푸석하여 씨를 뿌린 다음에는 밭을 단단히 다져 놓기 위해 골고루 잘 밟아줘야 한다. 이때 마소를 이용하여 밟아주거나, ‘돌테’나 ‘낭테’를 마소에 매어 끌면서 밭을 밟기도 하였다. ‘돌테’나 ‘낭테’를 사람이 직접 끌기도 하였다. 이런 일을 ‘밧림’이라고 하였다.

돌로 만든 것을 돌테, 통나무로 만든 것을 낭테라고 한다.

[연원 및 변천]

‘낭테’에 관한 옛 기록은 1429년에 편찬된 『농사직설(農事直設)』에 “3~4월에 풀이 많이 자랐을때 윤목(輪木)으로 풀을 죽이고 바닥을 고른 다음 늦벼를 뿌린다”라고 이와 유사한 도구를 사용한 기록이 있어 그 이전부터 널리 사용된 것으로 보이나 서귀포에서 언제부터 사용하였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형태]

서귀포 지역의 낭테는 보통 가로 80㎝, 지름 30㎝ 정도의 통나무 주위에 길이 13㎝, 지름 5㎝ 정도의 나무 토막들을 여러 개 박아 발굽을 만들었다. 이 낭테의 좌우 양 끝에는 고리를 달아서 소가 끌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또한 소를 대신하여 사람이 어깨에 낭테를 메고 끌기도 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제주 지역의 ‘밭밟기’에는 말이 많이 이용되었는데, 이때 사용되는 말들의 무리를 ‘테’ 혹은 ‘말테’라고 불렀으며, 이때 주로 2~30마리의 말이 동원되었다. 『세경놀이』의 기록에 의하면, “야, 이전  들이라, 테 들이라, 밧리자고”라고 하여 말을 이용한 ‘밭밟기’에 관해 설명을 하고 있다.

그러나 바쁜 농사철에 한번에 20마리가 넘는 많은 말을 활용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어서 낭테나 돌테를 만들어 밭을 다졌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