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곰방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825
이칭/별칭 곰배,곰베,배,흙시는 낭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김동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생산|제작처 곰방매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덕수리 지도보기
성격 농기구
재질 목재
용도 밭갈이 때 생기는 흙덩어리를 부수는데 썼던 농기구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서 흙덩어리를 부수는데 사용하던 농기구.

[개설]

곰방매는 주로 밭갈이할 때 생기는 흙덩어리[벙에]를 부수는 농기구 인데, 씨를 뿌린 뒤에는 흙덩어리를 풀어 씨를 덮는 파종 보조구로도 썼다. 주로 곧고 센 성질을 가진 쇠물푸레나무나 느티나무·가시나무 등으로 만들었다. 지역에 따라서 ‘곰배’, ‘곰베’, ‘배’, ‘흙시는 낭’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흙덩어리를 부수는 일이 쉽지 않아 주로 남자들이 사용하였다.

[연원 및 변천]

제주의 경우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농경지에서 밭갈이를 할 때 흙덩이가 많이 생겼다. 그래서 못을 박는데 사용했던 망치와 돌을 깨는 데 사용했던 ‘메’와 같은 도구에 착안하여 만든 것이 바로 곰방매이다.

[형태]

전체적으로 T자형이 되도록 만들었으나 사용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만들었으므로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곰방매는 흙덩어리를 직접 때리는 ‘곰배’와 손잡이인 ‘자루’로 구성되었다.

길고 가는 자루의 아래쪽에는 사각이나 타원형의 곰배와 자루가 나누어지지 않고 하나로 된 것을 최고로 쳤다. 이 경우 굵고 야문 뿌리 쪽을 곰배로 만들고 줄기 쪽은 자루로 만들었으나,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는 아니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손잡이는 길고 가늘며 하부에 나무로 사각(四角) 또는 타원형의 통나무를 잘게 다듬어 맞추었다. 흙덩이를 두드리며 불렀던 「곰베질 소리」·「흙벙에 두드리는 소리」가 전해오고 있다.

안덕면 덕수리에서는 ‘새[띠]’를 가꿀 수 없는 밭을 ‘가분밧’이라고 하는데, 이 밭을 쟁기로 갈 때 생긴 흙덩이를 풀어줄 때 곰방매를 사용하고 있다. 또 보리를 파종하고 복토할 때 두둑의 흙을 고랑으로 내려가게 하기 위해 곰방매를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