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몰(아래아)고(아래아)래 소리」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884
이칭/별칭 래 소리,방에 소리,연자매 돌리는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조영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0년 - 조영배 「몰(아래아)고(아래아)래 소리」 채록
채록지 「연자매 노래」 - 서귀포시 예래동 외 제주도 전역
가창권역 제주도 전역
성격 민요|노동요
토리 솔선법[자유리듬의 경우]|도선법[박절 민요의 경우]
출현음 솔라도레미[솔선법]|도레미솔라[도선법]
기능 구분 제분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자유리듬의 일정한 가락-짧은 악구의 후렴[자유리듬 래소리의 경우]|2마디를 단위로 매기고 받는 경우[박절 민요의 경우]
박자 구조 자유리듬의 경우|6/8박자의 경우
가창자/시연자 제주도 남녀/박절민요의 경우에는 서귀포시 성읍리 주민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서 연자방아[방애]를 돌리면서 곡식을 찧을 때 부르던 민요.

[개설]

제주도에서는 연자방아를 고래 또는 방에라고 부른다. 대개는 마소 등의 힘을 이용하여 연자방아를 돌리면서 곡식을 찧는다. 연자방아를 돌리는 일은 규칙적으로 원을 그리면서 말이나 소를 몰고 돌아가는 과정이 그 전부이다.

[내용]

1. 창법

연자방앗간의 구조상 여러 사람이 마소를 모는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이 한 마리의 말이나 소를 몰고, 다른 한 두 사람이 곡식을 넣고 손질하는 작업을 보조한다. 곡식을 도정할 때나 그밖에 갈옷을 만들 감을 빻을 때도 이 연자방아를 돌렸다.

이때 「연자매 노래」를 불렀는데, 대개의 경우에는 마소 모는 소리와 유사한 가락을 비교적 자유롭게 부르지만, 서귀포시 성읍리 지역에서는 박절이 있는 일정한 가락을 선후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따라서 이 민요는 엄밀히 말하면 두 가지의 별도의 노래라고 할 수 있다.

2. 채록/수집 상황

1960년대 이후에 제주대학교 김영돈 교수를 중심으로 사설 채록이 이루어져 왔고, 1990년대 이후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조영배 교수를 중심으로 사설 채록과 악곡 채보가 이루어져 왔으나 그 양은 그리 많지 않다.

3. 구성 및 형식

자유리듬으로 부르는 ‘래 소리’는 밭 밟는 소리 또는 마소 모는 소리와 유사한 가락을 선소리로 부르고 나면, 몇 사람이 짧은 악구를 후렴으로 부른다. 그러나 성읍리의 ‘래 소리’는 연행 상황이나 사설 내용은 자유 리듬의 ‘래 소리’와 유사하나, 음악적 성격은 상당히 다르다.

성읍리 지역의 「연자매 노래」는 6/8박자의 두 마디의 선소리와 두 마디의 후렴이 규칙적으로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부른다. 선소리는 본사(本辭)를 전개하지만, 뒷소리는 ‘어기요 도리’ 따위의 후렴구를 일정하게 받고 있다.

4. 사설

연자방아 돌리는 일의 연행 정황상 「연자매 노래」는 소 모는 소리나 밭 밟는 소리와 유사한 사설로 가창되는 경우가 많다. 마소를 모는 내용, 를 돌리는 작업과 직접 관련된 내용이 사설의 주류를 이루지만, 종종 생활상의 감정을 노래하기도 한다.

중간중간에 소를 모는 어구를 되풀이하는 ‘어려러러러 어려…’ 따위의 후렴구적인 여음(餘音)이 자주 사용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래는 제주도 자연마을에서 없어서는 안 된 공동체적인 소유물이다. 때문에 래에서 하는 작업들은 마을 주민들의 공동 작업이기도 하고, 이곳은 서로를 배려하고 차례를 지켜야만 하는 공동체성이 강한 공간이 된다.

일종의 정보 공간의 역할을 하는 곳이며, 「연자매 노래」도 그러한 공동체성을 강화하는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현황]

사실상 래가 사라진 지금, 「연자매 노래」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성읍 지역의 특수한 래 소리의 경우에는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연자매 노래」가 비록 가락적 독립성이 다소 떨어지기는 하지만, 제주도 자연마을의 공동체성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