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진주향토민속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403214
한자 晋州鄕土民俗館
영어의미역 Jinju Folk Culture Hall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경상남도 진주시
집필자 강병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본성동 10-4번지 문화관광센터 2층[진주대로1025번길 13]
전화 055-746-6828
홈페이지 진주향토민속관(http://www.jjcc.or.kr/html/folk.php)

[정의]

진주시 본성동에 위치한 국내 유일의 장석 전문 전시관.

[개설]

이 향토민속관은 태정민속박물관 시기와 현재의 진주시향토민속관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83평의 전시실에 장석류 약 8만 점을 비롯하여 자물쇠 831점, 장석 제작 도구 15점 등이 전시되어 있다. 태정민속박물관 시기는 평생 동안 가구 장석(옛 목가구에 사용되었던 모든 금속)과 민속품 수집에 전념했던 고 태정(苔井) 김창문(金昌文)이 직접 박물관을 운영하던 시기이고, 진주시향토민속관 시기는 1999년 김창문이 수집했던 가구 장석과 민속품을 진주시에 기증하여 진주시 본성동 10-4번지에 재개관을 한 이후이다.

[태정민속박물관]

김창문은 1923년 5월 1일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도림리 944번지에서 출생하여 진주로 옮겨와서 살면서 1949년에 미도양화점이라는 구둣가게를 운영하였다. 이후 우리 민족의 생활예술품인 전통목가구의 장석에 관심을 가지면서 40여 년간 가구 장석과 관련된 민속품을 수집하기 시작하여 1982년 3월 20일에 진주시 대안동 19-13번지[진양호로531번길 11]에 조선시대 가구장식박물관을 개관하였으며, 1986년 12월 12일에는 본성동 6-11번지에 태정민속박물관을 신축, 개관하여 1999년 진주시에 기증할 때까지 운영하였다. 이때 전국순회전 등 특별전을 개최하여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를 지키는 데 평생을 바쳤으며, 특히 1980년에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초청으로 세종문화회관에서‘조선조 가구장식 500년 전’을 개최하여 당시로는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았던 가구 장석의 아름다움을 크게 확산시켰다. 김창문은 이러한 집념의 노력이 인정되어서 1982년 6월 29일 대한민국 화관문화훈장을, 1986년 제25회 경상남도 문화상(지역문화 계발 부문)을 수상하였다.

김창문이 가구 장석에 첫 발을 들여놓은 사연을 인용하면 이러하다.“미도양화점시대인 1956년의 일이었다. 그해 겨울 선생의 가게 앞에 엿장수 한 사람이 와서 해바라기를 하고 있었다. 날씨는 춥고 엿 사러 오는 아이들도 뜸한 한낮이었다. 그때 선생은 그 엿장수의 지게 위에 얹혀 있는‘경첩’을 보고, 그때까지 이렇다 할 가구 한 짝도 없이 살아온 살림살이를 생각했고, 뒤늦게 아내에 대한 부끄러움이 불쑥 고개를 쳐들었다. 어디 솜씨 야문 소목장을 찾아가, 볼 만한 삼층장 하나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을 해볼까 싶기도 했다. 선생은 우선 급한 대로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헌 농짝 문에 경첩을 달아볼까 싶어서 엿장수한테서 그 경첩을 샀다. 그 날 그 순간은 선생께서 뒷날 조선시대의 가구장식, 예술품 수집과 정리의 선구자가 되기 위한 맨 첫걸음이었다.”

김창문은 1995년 『나의 지게자리』라는 선생 자신의 일생을 정리한 책을 펴내면서 가구 장석에 대한 마음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수복강녕을 바라는 인간의 마음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습니다. 조상의 땀 흘려 살아온 생활사가 담겨 있는 민속품을 모아온 지 40여년, 조선조의 장롱은 우리들 어머니의 모든 정성이 담겨진 물건일 뿐 아니라 집안 살림의 근본이며, 가히 세계적인 간결한 형태, 느티나무의 빛나는 색감과 무늬, 주석 장식의 독창성이 조화를 이룬 공예미의 극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특히 장롱에 부착된 장식용 쇠붙이는 섬세한 도안 감성과 명민한 자연 직관이 어우러져 단순 소박하면서도 적확 예민한 예술의 정화를 이룩하고 있습니다. 거기 붙어 있던 장식은, 그러나 현대조류에 밀려 또 연탄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인위적 스테인레스 제품 장식의 교환 등으로 모두 고철로 버려지게 되었습니다. 저는 20만여 점에 달하는 버려진 장석들을 모아 시대적 무늬별, 재료별로 체계화하는 한편, 한민족이 즐겨 서민의 안방에 장식한 민화에 착안하여 문양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민화 자체의 토속성과 그것을 이루는 한 개 한 개의 장석들이 갖는 아름다움을 보면 볼수록 동화와도 같은 꿈의 세계를 제게 불러일으켰던 것입니다. 조선조 초기부터 근대에 이르는 자물쇠를 포함한 민속품 3천여 점과 자라바가지 1천여 점도 민속자료로 빼놓을 수 없는 것입니다. 이름도 없이 역사의 광장에서 사라져간 서민과 그들이 사용하던 유물조차 자취를 감추게 된다는 안타까움에 이 일을 시작하여 미숙하나마 이 문양집과 그간의 각계 보도 자료를 함께 실어 편집하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가구장식과 민속품은 40여 년간 김창문과 함께하는 생활의 일부분이었으며 이러한 선생의 노력과 집념으로 오늘날 전국 유일의 가구장석 전문전시관인 진주시향토민속관이 탄생하게 되었다.

[장석 전문 전시관]

진주시향토민속관은 평생을 가구장석과 민속품을 수집하여 태정민속박물관을 운영하던 고 김창문이 진주시에 수집 소장품 일체를 기증함으로써 1999년 10월 9일 본성동 10-4번지에 개관하였다. 태정박물관에 전시되었던 가구장식은 장식을 이용하여 각종 민화의 모양으로 재편성한 형태로 전시되었던 것을 장식의 용도에 따른 분류, 모양에 따른 분류, 가구에 부착된 형태대로의 배치, 소재에 따른 분류 등으로 재전시하여 관람객으로 하여금 대하여 가구장식 본래의 목적과 의미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가구장식의 역사]

장식의 역사는 아주 고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정확히 언제부터 제작되어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고대 삼국의 예술문화 수준과 발굴된 유물, 유적을 통해 일찍부터 사용되었다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고대 때부터의 장구한 장석 사용 기간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이전까지는 지배층의 생활품을 중심으로 장석이 제작, 사용되었기 때문에 일반서민들에게까지 보편적으로 보급되지는 않았다.

서민들에게까지 장석이 보급된 시기는 서민들이 목가구를 본격적으로 사용한 시기와 일치하며 그 시기를 대략 17~18세기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면, 우선 1592년 임진왜란의 영향으로 붕괴된 통치체제, 즉 중앙집권 지배체제가 완전히 복구되지 않았고, 새로운 학문인 실학의 보급으로 기존의 사상인 성리학과 대립하기 시작하고, 중앙에서는 붕당정치의 폐해로 몰락한 양반(잔반)들의 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다가 서민들 중에서는 광작(廣作)·도고(都賈)를 통하여 경제적 부를 축적한 이들이 많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납속·공명첩과 같은 제도의 폐단으로 신분계층이 문란해지는 것이 이때의 시대적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이 목가구와 장석을 만들어서 사용한 서민들이 생겼으며, 경제력이 모자라는 서민들은 몰락한 양반들이 사용하던 가구를 구입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서민들의 정서와 생활상 및 서민들의 염원이 담긴 장석이 급속도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현재 진주시향토민속관에 전시된 장석들은 그 시기가 18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이다. 전시된 유물에서 볼 수 있듯이 조선 초기와 중기까지만 하더라도 일반서민들이 목가구를 본격적으로 사용하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금속장석이 많이 부착된 목가구는 지배층인 양반과 중간계층이라 할 수 있는 중인들이 주로 사용하였고, 목가구를 사용하였더라도 장석이 많이 붙어 있는 목가구는 사용하지 못하였다. 목가구의 목재는 산에서 나무를 구해 만들 수는 있지만, 목가구에 붙는 장석을 제작하기에는 경제력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장석의 재료]

장석의 재료로는 거멍쇠·청동·황동·백동 등이 있다. 이 중 장석의 재료로 가장 먼저 사용되는 것은 거멍쇠이다. 색깔이 검기 때문에 붙은 순우리말로, 일반적인 말로하면 흔히‘무쇠’라고 말하는 것이며, 이 거멍쇠는 고대부터 지금까지 전시기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청동이 사용되었는데, 청동으로 제작된 장석은 거의 고려시대(중세)에만 나타나고 있다. 이곳 민속관의 장석은 18세기~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청동장석은 아쉽게도 없다. 청동 다음으로 황동이 사용되었으며, 백동이 가장 나중에 사용되었다.

백동이 본격적으로 장석 제작에 많이 사용된 시기는 1900년대 초로, 거의 일제강점시기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백동장석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1900년대 초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백동·황동 장석이라 하여 일률적으로 정석의 색깔이 하얗거나 노랗지는 않다. 장석을 만드는 장인이 구리에 니켈이나 아연의 금속을 어떤 비율로 섞어서 만드는가에 따라 백동·황동 장식의 색깔이 제각각 조금씩 틀리게 된다. 때문에 각 장인들은 자신이 즐겨 쓰는 재료의 배합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쉽게 전수해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금속장석의 모양이나 문양은 쉽게 모방할 수는 있지만 금속의 색깔은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장인들은 금속장석이 붙은 가구가 어디에 있더라도 한눈에 자기가 만든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금속장석들은 오래 사용하면 사람의 손길에 그 색이 바라거나 때가 타게 된다. 옛날에는 손때가 묻은 금속장식을 닦는 데 담장이나 지붕에 있는 기와의 가루를 사용하였다. 보통 새해 초에 많이 닦았는데, 백동·황동은 1년에 한 번만 손질하여도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러한 재료로 만들어진 금속으로 가구장석을 만드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두 가지가 있다. 바로 투각과 판금이다. 투각은 주로 해안지방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며, 판금은 금속의 위에 무늬를 새겨 넣는 것으로, 주로 내륙지방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곳 진주는 내륙에 위치하면서도 인근에 해안이 근접해 있기 때문에 판금과 투각의 기법이 두루 사용된 경향이 있다.

[장식의 종류]

목가구에 사용된 장식은 그 쓰임새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우선 장식은 크게 기능적인 것과 장식적인 것의 둘로 나눌 수가 있는데, 기능적인 장석에는 경첩·들쇠·앞바탕·광두정·자물쇠 등이, 장식적인 것에는 생장생문양장식과 문자장식·동식물장식 등이 있다. 초기에는 기능과 장식이 분리된 형태이던 것이 점차 변하여 기능적인 면과 장식적인 면이 합해져서 기능만을 생각하여 단순하고 밋밋하게 만들던 장식들이 멋을 추가해 보다 화려해지고 아름답게 제작되었다.

앞바탕은 가구의 자물통을 채우는 부분에 사용되어져, 자물통으로부터 가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무늬가 없는 단순한 형태의 앞바탕은 초기에 단순히 기능만을 생각하여 만든 것이고, 후기로 갈수록 많은 무늬를 투각하거나 새긴 앞바탕이 나타나게 된다. 형태상의 종류는 둥근형·약과형·약과투각형·팔각투각형·나비형·실패형 등으로 나뉜다.

경첩은 문을 열고 닫기 위해 만든 장식이다. 문장식이 많이 개발된 요즈음에도 경첩은 흔히 사용되고 있다. 대칭이 되는 두 개의 쇳조각을 맞물려서 기둥쇠에 맡아 고정시키고, 기둥쇠가 회전함에 따라 문을 여닫게 하는 것이 경첩의 원리이다. 돌쩌귀는 무게를 많이 받는 방문이나 대문에 주로 쓰이고, 경첩은 가벼운 창문이나 가구류에 사용되었다. 대칭된 두 개의 쇠판이 겹쳐지며 열린다고 해서 겹첩이라고도 하고, 경첩 또는 정첩이라고 한다. 경첩은 분류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날개판이 겉으로 드러나는 노출형 경첩과 날개판 없이 중앙의 기둥쇠만 보이는 숨은 경첩이 있고, 생김새에 따라 둥근형·약과형·화형·실패형·나비형·저고리형·인동초형·허리띠형·제비초리형·문자형 등이 있다.

들쇠는‘들어 올리는 쇠’라는 순우리말로, 바로 손잡이를 일컫는 말이다. 들쇠는 구조상으로 배목 1개 들쇠와 배목 2개 들쇠로 분류된다. 배목 1개 들쇠는 주로 고리 형태이며, 배목 2개 들쇠는 일반적인 손잡이와 같다. 활형·새형·물고기형·약과형·ㄷ자형·꽃무늬형 등이 있다.

감잡이는 감아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가구는 나무로 구성되어 있어서 나무가 뒤틀리게 되는데, 감잡이는 바로 이러한 뒤틀림현상을 어느 정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외부와의 접촉 시 가구를 보호해주는 역할도 한다. 그래서 가구의 모서리나 가구 윗면 네 귀의 귀퉁이에 사용되는데, 가구의 꼭지점인 네 귀의 귀퉁이에 사용되는 감잡이는 통귀쌈 또는 귀싸개라고 부른다. 감잡이는 그 형태에 따라 달감잡이·석류감잡이·새발감잡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감잡이는 두 면 이상에 걸쳐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귀장식은 한 면에만 사용된다. 둥근갑잡이·상두감잡이·약과형감잡이·개하형감잡이·당포감잡이·둥근형귀감잡이·약과형귀잡이·새발귀잡이·둥근고깔감잡이·투각고깔감잡이·투각고깔감잡이 등이 있다.

머리가 넓은 못으로 광두정의 첫째 기능은 가구를 제작한 후에 생기는 여유 공간(여백)을 잘 구성함으로써 가구의 미를 더욱 아름답게 하는 데 있다. 둘째는 가구 제작 당시에 실수로 생긴 가구 표면의 흠집을 막기 위한 것이며, 셋째로는 가구 재료로 쓰일 나무가 꼭 필요한 부분에 흠이나 벌레가 파먹을 경우, 그곳을 막기 위한 역할로 사용되었다. 형태로는 나비형·박쥐형·둥근형·구름모양 등 여러 가지다.

꾸밈장식은 크게 문자 장식과 동식물 모양 장식으로 나눌 수 있다. 문자 장식에는 수복강녕(壽福康寧), 부귀다남(富貴多男), 백복자래(百福自來), 오군만년(吾君萬年) 등이 주로 쓰였다. 동물모양 장석에는 대표적으로 십장생이 있다. 십장생 중에서도 무생물은 표현하기가 힘들므로 생물인 학·사슴·거북이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십장생 외에도 물고기 장식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물고기가 기능적인 자물쇠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항상 눈을 뜨고 있는 습성 때문에 지켜달라는 의미이며, 기타 장식용으로 사용되었을 때에는 알을 많이 낳기 때문에 다산을 상징한다. 특히 물고기 중에서 잉어는 출세·성공을 상징하는데, 이것은 잉어와 연관된 등용문(登龍門)이라는 한자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종류로는 문자형 외에 거북형·사슴형·학형·호랑이형·용형·물고기형·화조형·두꺼비형·포도형·국화형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열쇠는 ‘자물쇠를 여는 쇠’로 개금(개금) 또는 건(건)이라고 한다. 이러한 명칭과 관련되어 자물쇠는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자물통·잠글쇠·열쇠이다. 자물통은 우리가 흔히 아는 자물쇠의 몸통을 가리키는 말이며, 잠글쇠는 자물통(몸통)에 끼워서 잠기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물론 열쇠는 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이 세 구조에 관한 것은 중국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 삼국의 것이 거의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고 있다. 자물쇠란 명칭은 동사인 ‘자물’과 명사인 ‘쇠’가 합쳐서 형성된 복합어이다. 따라서 자물쇠는 여닫게 되어 있는 물건에 채워서 열쇠가 없으면 열지 못하도록 잠그는 쇠를 의미하며, 자물통·소통·쇠통·쇠금 또는 쇠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물쇠는 형태별로 분류하면 크게 대롱자물쇠·함박자물쇠·물상형자물쇠·붙박이자물쇠로 등으로 분류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