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정의현감 이섬 표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459
한자 旌義縣監李暹漂流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나영

[정의]

1483년(성종 14) 정의현감 이섬(李暹)이 추자도에서 표류를 당해 명나라 양저우·베이징을 거쳐 귀국한 사건.

[개설]

제주 정의현감 이섬과 정의 훈도 김효반 등 47명은 1483년(성종 14) 2월 봄에 표류하여 해상에서 밤낮 열흘을 떠다니다가 중원 양주 지방에 이르렀다. 이때 살아남은 이섬과 김효반 등 33명은 북경에 도착하였고, 이를 천추사(千秋使)[조선에서 중국 황태자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보내는 사신] 박건이 6개월만에 데리고 돌아온 사건으로 『성종실록』에는 “성종 14년 9월 병신조에 참찬관 김종직이섬의 행록을 편찬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경과]

1483년 2월 29일 이섬은 정의현감의 임기를 마치고 제주를 출발했다가 추자도 10리 근해에서 표류를 당하였다. 동북풍으로 운무가 사방에 꽉 차고 빗줄기가 물 붓는 것 같고 노도가 산과 같아서 물이 배 안에 가득 차니 사람들이 다투어 목을 매는 사태에 이르러, 이섬과 첩 순비도 목을 매고자 하였는데 읍리(邑吏) 한진이 이를 말렸다.

떠난지 6일 만에 허생 등 6인이 굶주림 끝에 죽고, 9일 만에 강산 등 7인이 죽었으며, 10일째 되던 날 부계의 등 4인이 죽은 이후, 중국의 장사진에 표착하였다.

이섬 등이 처음 장사진에 배를 정박하니 천호(千戶) 상개와 순검관 섭총이 이섬 등을 심문하면서 변방을 범하였다고 말하였다. 장사진에 도착한 2경쯤 장졸들이 이섬 일행을 죽이려 하는데 순검이 큰 소리를 쳐 겨우 죽음을 면하였다. 장사진에서 2일을 머물었다.

굴항지휘소에서도 총병관 곽총의 심문을 받았지만, 1479년 윤 12월 중국 조서를 받들어 여진을 북벌한 얘기와 1480년부터 1481년까지 중국 사신이 계속해서 본국을 들어와 본국에서는 세자의 고명을 청한 일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사신이 중국에 간 일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부터는 이섬 등의 항쇄(項鎖)[목에 씌우는 형틀]와 수박(手搏)을 풀어주었다.

양주에 도착하여서는 지휘첨사 유윤의 심문에 조선에서는 인의에 의한 정치, 농상에 의한 양민함을 말하고, 조선의 의습이 중국과 같다고 답변하였고, 양주를 떠날 때 사사원(射士元)과 시를 주고 받았다.

회음현에 도착하여 진감 사위와 문답하고, 특히 『황화집(皇華集)』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이에 표류한지 3개월만인 6월 10일에 북경에 도착하여 병부낭관(兵部郎官)에게 시 5, 6수를 보내고, 천추사 박건을 따라 돌아와 성종께 복명한 것이 1483년(성종 14) 8월 22일이니 조선으로 귀국하기까지 6개월 정도가 경과된 셈이다.

[결과]

이섬이 돌아오자 성종은 다섯 자급을 가하고 역(役)을 면해 주어 표창하고자 하였는다. 이에 사헌부 장령 이종윤, 사간원 헌납 양면, 사헌부 지평 이녹숭 등은 단지 표류하다가 돌아온 것뿐이기 때문에 다섯 자급을 올리는 것은 불가하다고 아뢰는가 하면, 김종직은 성상의 은혜와 영광이 지극하다고 칭송할 뿐 아니라 일행 중 중국 사람과 시로 칭화하여 조선의 성교(聖敎)를 떨어뜨리지 않은 훈도 김효반과 이섬이 바다에서 표류 중 자살하려고 하자, 말로 진술하여 죽지 못하게 한 호장 한진에게도 상을 주는 것이 좋겠다고 아뢰었다.

[의의와 평가]

이섬이 풍랑을 만나 중국에 표류하여 온갖 고난을 겪은 표류기록을 통해 당시 주변국인 명나라의 사회상 및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