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410040 |
---|
○ 양역(梁嶧) : 호는 운곡(雲谷)이요, 본관이 남원(南原)이니 대사간(大司諫) 양사귀(梁思貴)의 셋째 아들이다. 기유년(세종 11년, 1429)에 사마시에 합격해 연일진병마첨절제사(延日鎭兵馬僉節制使)를 지냈다. 온화하고 부드러우며 공손하고 검소한데다가 뜻이 멀고 행실이 높아서 안과 밖에서 추중(推重)되었다. 단성(丹城)으로부터 진주 운곡(雲谷)에 옮겨와서 살았다.
○ 하공효(河公孝) : 호는 태촌(台村)이요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대사간(大司諫) 하결(河潔)의 후손이다. 성품이 강직하면서도 개결했고 맑고 염직하여서 가난의 고통을 달게 여기며 스스로를 닦았다. 임진왜란의 병화 뒤에는 향교를 증축하고 수리했다. 봉강(鳳岡) 조겸(趙㻩)과 더불어 덕천서원(德川書院)을 수리했다.
○ 하준해(河遵海) : 자는 백규(伯逵)요,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무자년(선조 21년, 1588)에 문과에 올라 여러 번 청현직을 역임하면서 품계가 통훈대부(通訓大夫)에 이르렀다. 밖으로 금정도찰방(金井道察訪)에 부임했는데 일에서는 엄정하고 공명했으므로 이속과 백성들이 모두 어려워하며 신복했다. 때마침 광해군(光海君)이 인륜을 무너뜨려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유폐되자 공은 탄식하고 눈물을 흘리면서 결국은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집을 월봉(月峯) 아래에 세우고 편액을 임월재(林月齋)라 이른 다음 날마다 자식과 조카들을 가르치고 경서를 보는 것으로써 스스로 즐겼다.
○ 정유우(鄭有祐) : 자는 길숙(吉叔)이요, 본관이 해주(海州)이니 농포(農圃)의 손자다. 겸재(謙齋) 하홍도(河弘度)의 문하에서 학업을 닦아 문학과 행의로 사우(士友)에게 추중(推重)되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일찍 세상을 떠났다. 겸재가 만사(輓詞)를 지어 슬프게 탄식했다. 손자가 귀하게 되었기 때문에 좌승지(左承旨)에 추증되었다.
○ 손작(孫綽) : 자는 유경(裕卿)이요, 호는 완매당(玩梅堂)이며 본관이 밀양(密陽)이다. 이른 나이에 사마시에 합격했다. 학업을 각재(覺齋) 하항(河沆)에게서 배워 남명(南冥) 선생의 서론(緖論)을 들었으며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창주(凔洲) 하증(河憕)·동계(桐溪) 정온(鄭蘊)를 따라 도의(道義)로 서로 사귀었다.
○ 정재(鄭梓) : 자는 원초(元初)요, 호는 우수(迂叟)며 본관이 해주(海州)이니 농포(農圃) 정문부(鄭文孚)의 증손이다. 문학이 넉넉하여 여러 번 과거를 보았으나 합격하지 못하고 전원에서 노년을 마쳤다. 신묘년에 아들이 귀하게 되었기 때문에 대사헌(大司憲)에 추증되었다.
○ 성양(成亮) : 자는 명중(明仲)이요, 호는 아산(牙山)이며 본관이 창녕(昌寧)이니 참봉(參奉) 성응곤(成應坤)의 아들이다. 일찍부터 학업을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의 문하에서 받았다. 자기를 수양하는 공부의 방법을 얻어들어 효제충신(孝悌忠信)과 경의(敬義) 등의 학설을 종신토록 마음에 담아 실천했다. 경오년(선조 3년, 1570)에 진사에 합격해 삼례찰방(三禮察訪)을 지냈다.
○ 정장(鄭樟) : 자는 거경(巨卿)이요, 호는 일수헌(一樹軒)이니 승지(承旨) 정유우(鄭有佑)의 아들이다. 문장과 행의로 세상에 추중(推重)되더니 늦게 단성(丹城) 원산(圓山)에 우거(寓居)하여 후손들이 이에 살았다. 문집(文集)이 있어 세상에 행해진다.
○ 하해관(河海寬) : 자는 한경(漢卿)이니 태계(台溪) 하진(河溍)의 아들이다. 총명이 뛰어나고 효성과 우애가 특히 지극했다. 모친의 상(喪)에 여묘(廬墓)를 살았는데 3년을 지나고서도 서럽게 우는 모습이 한결같으니 온 마을 사람들이 모두 감읍했다. 나이 13세에 어버이의 명령으로 미수(眉叟) 문정공(文正公) 허목(許穆)에게 나아가서 배웠다. 성년이 되어서는 겸재(謙齋) 하홍도(河弘度)의 문하에 출입하여 남명(南冥) 선생의 지결(旨訣)을 얻어들었다. 고을 사람들이 공을 효도와 우애로써 조정에 알리려 했으나 공이 굳이 중지하게 하여 그만두었다. 유집(遺集)이 있다.
○ 성치영(成治永) : 자는 환연(煥然)이요 본관이 창녕(昌寧)인 천재(川齋) 성순(成錞)의 아들이다. 임인년(현종 3년, 1662)에 사마시에 합격했다. 시(詩)와 예(禮)를 가정의 훈도로 익혔으므로 학문에 연원이 있었다. 일찍이 성균관에서 공부하더니 재주와 기량을 뛰어나게 펼치니 같이하던 벗들이 모두 미치지 못했다.
○ 하옥(河鋈) : 호는 묵재(黙齋)요,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태계(台溪) 하진(河溍)의 후손이다. 문학과 행실이 일찍부터 드러났다. 신축년에 고을의 목사(牧使)가 공에게 『주지(州誌)』를 엮을 것을 요청하여 임했으나 마치지 못했다. 유집(遺集)이 있다.
○ 손여흠(孫汝欽) : 자는 숙승(淑昇)이요, 호는 삼려(三黎)니 본관이 밀양(密陽)이다. 성품과 행실이 엄숙하고도 단정했다. 평생토록 유학(儒學)을 일으키는 것을 자신의 책임으로 삼았다. 종천서원(宗川書院)에 변이 있었을 때에 원임(院任)이 되어 국헌(菊軒) 하성달(河聖達)과 더불어 힘을 다해 새롭게 세우니 유림이 통쾌하게 여겼다.
○ 이갑룡(李甲龍) : 자는 우린(于麟)이요, 호는 남계(南溪)며 본관이 성산(星山)이니 참판(參判) 이분국(李芬國)의 증손이다. 타고난 자질이 영특하고 의지가 굳었는데 덕행까지 갖추었다. 임오년(영조 38년, 1762)에 문과에 올라 정의(旌義)에 나가서 군수(郡守)가 되었다. 정사년(정조 21년, 1797)에는 장령(掌令)이 되어 부름에 달려갔더니 상국(相國) 채제공(蔡濟恭)이 ‘영남의 세 선비[嶺南三士]’를 칭찬하면서 ‘덕행은 이갑룡(李甲龍) 그 사람’이라고 했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하범운(河範運) : 자는 희여(熙汝)요, 호는 죽오(竹塢)니 태계(台溪) 하진(河溍)의 손자이다. 강고(江皐) 유심춘(柳尋春)의 문인으로 일찍부터 부친의 사적(事績)을 분명하게 드러내고 후생을 인도하는 것을 자기의 책임으로 삼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 허제(許濟) : 자는 해지(海之)요, 호는 강재(江齋)며 본관이 양천(陽川)이고 호은(湖隱) 허언(許鄢)의 아들이다. 가정의 가르침을 이어서 익혀 문학에 마음을 다했다. 「이기설(理氣說)」을 저술하여 앞 사람들의 성리설(性理說)을 답습하지 않고 자기의 견해로써 추구하여 밝혔다. 유집(遺集)이 있다.
○ 조준효(趙準孝) : 자는 성원(聖源)이요, 호는 당와(棠窩)며 본관이 함안(咸安)이니 대소헌(大笑軒) 조종도(趙宗道)의 후예다. 타고난 자질이 영특하여 문사(文詞)가 넉넉했다. 무자년(순조 28년, 1828)에 문과에 올라 벼슬이 지평(持平)에 이르렀다
○ 최붕대(崔鵬大) : 자는 창숙(昌叔)이요, 호는 화포(花圃)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산포(山圃) 최익대(崔益大)의 아우다. 일찍 어버이를 여의고 형제가 힘써 매진하여 의리를 강구(講究)하니 터럭만한 것이라도 쪼개어 나누어 가졌다. 일찍부터 종족에게서 보종계(補宗契)를 세우고 향사에 양사재(養士齋)를 세웠다.
○ 하복원(河福源) : 자는 치개(致介)요, 호는 수암(睡庵)이니 설창(雪牕) 하철(河澈)의 후손이다. 학문을 가정에서 이어받아 예(禮)로써 몸을 검속하고 경(敬)으로써 행실을 돈독하게 했다. 필법도 또 단정해 사람들이 많이 보배롭게 취했다.
○ 정우현(鄭禹鉉) : 자는 하서(夏瑞)요, 호는 동호(桐湖)며 또 호를 초객(樵客)이라고도 했는데 오천(烏川)사람으로 포은(圃隱) 선생의 후손이다. 동곡(桐谷)에 살면서 문학의 성망이 있었고 모든 일에 있어 유학을 지키는 일에 관계되는 것은 힘쓰지 않는 것이 없었다. 『겸재집(謙齋集)』 간행에 많은 힘을 쏟았다.
○ 박공진(朴公鎭) : 자는 주중(周仲)이요, 호는 이락정(二樂亭)이며 본관이 밀양(密陽)이니 성와(誠窩) 박능환(朴能煥)의 손자다. 계묘년(현종 4년, 1663)에 문과에 올라 군자감정(軍資監正)과 보령현감(保寧縣監)을 지냈다. 품성이 청렴결백하여 백성을 구휼하고 봉공(奉公)하는 외에는 절대로 사사로운 경영이 없었다. 고을의 수령이 교체될 때에 전대에 노자(路資)가 없을 정도였다. 아전들과 백성들이 자진하여 70민(緡)을 드린 일이 있었다. 사예(司藝)를 제수했으나 나가지 않았으며 양식이 여러 번 떨어져도 평안했다. 유집(遺集)이 있다.
○ 최상운(崔祥雲) : 자는 양보(揚甫)요, 호는 수오당(守吾堂)이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치암(耻庵) 최상우(崔祥羽)의 아우다. 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강고(江皐) 유심춘(柳尋春)의 문하에서 공부했다. 평생토록 『대학(大學)』에 가장 드러나게 힘썼으며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학설에 있어서는 외우기를 자신의 말과 같이했다. 많은 선배 유현들의 포장과 드러냄이 있었고, 종족과 사림의 일에도 많은 규획(規劃)이 있었다. 수직(壽職)으로써 부호군(副護軍)이 되었다. 유집(遺集)이 있다.
○ 하범대(河範大) : 자는 호여(浩汝)이며 정유년(헌종 3년, 1837)의 문과에서 병과에 올랐다. 이때에 공은 장가들기 전이었는데, 더욱 영화로워져서 성균전적(成均典籍)·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를 역임하고 기유년에는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배(拜)했다. 집안의 가르침을 잘 이어받아 관직에 나가는 것으로써 영화를 삼지 않았다.
○ 정근(鄭瑾) : 자는 미보(美甫)요, 호는 죽와(竹窩)며 본관이 해주(海州)이니 충의공(忠毅公) 정문부(鄭文孚)의 후손이다. 문학과 행의로써 당시의 기대에 부응했다. 소(疏)를 올려 충의공을 국가에서 제사하는 은전을 입도록 청하여 임금의 윤허를 입었다.
○ 김양기(金養耆) : 자는 순수(順受)요, 호는 자성(自醒)이다. 일찍부터 뜻과 재주가 있어 집안에서 가르침을 받았으니 문벌과 진로가 확실히 그러했다. 안으로 수양하는 데에 돈독했다. 불행히도 일찍 세상을 떠나니 사람들이 모두 애석하게 여겼다. 유집(遺集)이 있다.
○ 성견룡(成見龍) : 자는 경한(景漢)이요, 호는 퇴양헌(退讓軒)이며 본관이 창녕(昌寧)이니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의 후손이다. 진사에 합격하고 문학과 행의로써 당시에 일컬어졌으며 자경시(自警詩)가 있다.
○ 최운(崔澐) : 자는 여선(汝宣)이요, 호는 지와(止窩)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진사 최상갑(崔祥甲)의 아들이다. 경자년(헌종 6년, 1840)에 생원에 합격했는데 학업을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에게서 받았다. 젊어서부터 총명하고 깨우치게 하더니 사자(四子 : 孔子·孟子·程子·朱子)와 육경(六經)에 힘써서 그만두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마을 사람들을 앞장서 이끌어서 퇴계(退溪)의 향약을 본떠서 권선징악(勸善懲惡)토록 했다. 또 필법에도 능했다.
○ 최롱(崔瀧) : 자는 약여(躍如)요, 호는 하수(霞叟)이며 최운(崔澐)의 아우다.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문인으로 재주와 생각하는 것이 민첩하고 영특했으며 문장과 식견이 일찍 성취되었다. 젊어서부터 사방(四方)에 뜻을 가지고 여러 번 향시를 마치고도 자주 대과에서 떨어졌으나 곧 호연히 돌아왔다. 유선생을 귀양지에서 뵙고 돌아와서는 문을 닫고 뜻을 구하면서 그의 집에 편액을 만오(晩悟)라고 일렀다.
○ 정세교(鄭世敎) : 자는 순문(舜文)이요, 호는 쌍주(雙洲)며 본관이 해주(海州)이니 농포(農圃) 정문부(鄭文孚)의 후손이다.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문인으로 문학과 행의로 세상에서 추중(推重)되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조용택(趙鏞宅) : 자는 응원(應元)이요, 호는 죽하(竹下)이며 본관이 함안(咸安)이니 대소헌(大笑軒)의 후손이다. 은거하면서도 행의로 매우 이름이 나 있었다. 몇 사람 요망한 도적의 무리가 유람(遊覽)을 칭탁하고 가만히 반역을 도모하고자 공에게 함께 일할 것을 요청했다. 이에 공은 의연히 거절하고 즉시 법을 맡은 이에게 알렸더니 이에 모든 역적이 잡혀 죽었다. 조정에서는 공이 기미를 밝혀 공을 세웠기 때문에 벼슬을 주고자 했으나 공은 듣지 않고 즉시 고향으로 돌아왔다.
○ 하치룡(河致龍) : 자는 주서(珠瑞)요, 호는 만송(晩松)이다. 학문과 식견이 넉넉하고 인품이 성대하여 유림(儒林)에 두터운 신망이 있었다. 또 낙파(洛坡) 상국(相國) 유후조(柳厚祚)와 고헌(顧軒) 정내석(鄭來錫)과 더불어 사귐이 매우 두터워서 많은 글과 편지를 주고받았다.
○ 최태진(崔台鎭) : 자는 응천(應天)이요, 호는 오산(吾山)이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해정(海亭) 최수강(崔秀岡)의 후손이다.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에게 사사(師事)하여 계호(溪湖)의 지결(旨訣)을 들었다. 매번 사계절의 가운데 달이면 강회(講會)를 설치하여 해마다 규칙으로 삼았다. 그가 저술한 것으로 「팔경휘심성설(八經彙心性說)」·『동현록(東賢錄)』이 있다.
○ 하홍운(河弘運) : 자는 우서(禹瑞)요, 호는 쌍강(雙岡)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함와(涵窩) 하이태(河以泰)의 손자다. 넓은 학식으로 시를 잘하여 당시에 이름이 나 있었다.
○ 최식민(崔植民) : 자는 순호(舜皥)요, 호는 귤하(橘下)이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모산(茅山) 최기필(崔琦弼)의 후손이다. 문학과 행의로 사우(士友)들이 중하게 여겼으며 문집(文集)이 있다.
○ 하재문(河載文) : 자는 의윤(義允)이요, 호는 동료(東寮)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지명당(知命堂) 하세응(河世應)의 후손이다. 나이 15세에 부모상을 당하더니 한결같이 예법(禮法)에 의지했고 이미 장성해서는 경사(經史)를 연구했다.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을 뵙고 학문하는 방법을 얻어듣고 또 만성(晩醒) 박치복(朴致馥)·남려(南黎) 허유(許愈)·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와 더불어 도의(道義)로 사귀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성익(成瀷) : 자는 한원(翰遠)이요, 호는 송남(松南)이며 본관이 창녕(昌寧)이다. 진사에 합격하고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문하에서 공부했으며 단정하고 공손하여 의표(儀表)가 있었고 넓은 학문에다 문장도 뛰어났다. 필법에서도 이름이 드러났었다.
○ 양식영(梁湜永) : 자는 연로(淵老)요, 호는 죽파(竹坡)이며 본관이 남원(南原)이다.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어버이가 병들자 목욕하고 하늘에 빌어 감우(感佑)를 얻었다. 또 재주와 자품이 뛰어나고 민첩하여 5~6세 때 이미 글을 짓는 것에 능했다. 월촌(月村) 하달홍(河達弘)·월고(月皐) 조성가(趙性家)와 더불어 경전의 뜻을 강마(講磨)했다.
○ 강구상(姜龜相) : 자는 가범(可範)이요, 호는 유해(由偕)니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사람됨이 시원스럽고 기개가 있어 당시에 장자(長者)로 일컬었다. 아버지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지 못한 것을 한탄하여 힘써 정성된 힘을 다하니 마침내 정표(旌表)를 입기에 이르렀다.
○ 하인수(河仁壽) : 자는 천지(千之)요, 호는 이곡(梨谷)이니 월촌(月村) 하달홍(河達弘)의 아들이다. 타고난 자질이 순수하여 행동이 단정하고 장중했으며 효성과 우애가 도탑고 학문이 깊었다. 당시 선비들이 남명(南冥)의 『학기(學記)』 및 「신명사도(神明舍圖)」를 간행하고자 했는데 공이 조변(條辨)을 심히 자세하게 하여 선생의 본뜻을 드러내었다. 항상 산천재(山天齋)에 머물면서 여러 생도들을 가르쳤다. 「역설(易說)」과 「성리설(性理說)」을 저술했다. 전지(前誌)의 효행편(孝行篇)에 보인다.
○ 김구락(金龜洛) : 자는 석하(錫夏)요, 본관이 의성(義城)이다. 을축년(고종 2년, 1865)에 명경과(明經科)로써 권지승문원정자(權知承文院正字)에 발탁되었다. 스스로 지키기를 매우 곧게 하여 승진이나 자급(資級)을 기뻐하지 않았다. 해가 다하도록 한번도 권문(權門)에 가지 않으니 사람들이 모두 이를 칭찬했다.
○ 이돈필(李敦必) : 자는 선장(善長)이요, 호는 운오(雲塢)며 본관이 재령(載寧)이니 모은(茅隱) 이오(李午)의 후손이다. 일찍 과거 보는 것을 일로 삼아 재주를 서울에서 다투었다. 세 번 나아가서 세 번 합격되지 못했다. 공이 이르기를 “이는 얻는 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 하고 마침내 돌아왔다. 세상의 숲과 골짜기에서 쌀과 채소가 끊겨도 편안히 여겼다.
○ 정기영(鄭祺永) : 자는 태윤(兌潤)이요, 호는 의재(義齋)이며 본관이 오천(烏川)이니 포은(圃隱) 문충공(文忠公)의 후손이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뜻을 받들고 어기는 일이 없었다. 또 문학과 행실로써 사림(士林)에서 소중히 여겼다.
○ 조용(曺鎔) : 자는 중소(仲昭)요, 호는 성계(惺溪)며 본관이 창녕(昌寧)이니 기노사(奇蘆沙)의 문인이다. 타고난 자질이 충직하고 온순하여 일찍부터 학문을 일삼았다. 성경(誠敬)의 교훈을 몸으로 알아 마음에 새겨 실천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성진태(成鎭泰) : 자는 노첨(魯瞻)이요, 호는 금원(錦遠)이며 본관이 창녕(昌寧)이니 금호(琴湖) 성한주(成翰周)의 아들이다. 명경과(明經科)로써 여러 번 과거장에 달려갔으나 마침내 대과에서 떨어지니 사람들이 모두 애석히 여겼다. 손수 칠서(七書)를 써서 집에 소장했다.
○ 강병주(姜柄周) : 자는 학수(學叟)요, 호는 옥촌(玉村)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중은(重隱) 강석우(姜錫佑)의 손자다. 학업을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문하에서 받았다. 진실되게 궁구하고 독실하게 행하여 조행을 변치 않고 지켰다. 문집(文集)이 있다.
○ 정광룡(鄭光龍) : 자는 대현(大見)이요, 호는 석동(石桐)이며 본관이 해주(海州)이다. 임오년에 진사가 되었는데 타고난 자품이 우뚝하여 단정했고 기국과 도량이 시원스러웠으며 풍채가 사람들에게 신선과 학같이 비추었다. 문학을 일찍 이루었다. 만년에는 강좌(講座)를 용암(龍巖)의 장덕재(章德齋)에 설치하니 원근에서 와서 배우는 자가 매우 많았다.
○ 김인락(金麟洛) : 자는 석의(錫義)요, 호는 전천(前川)이며 본관이 의성(義城)이다. 어려서부터 총명과 지혜가 특출하고 더한데다가 호방해서 작은 일에 매이지 않았다. 만성(晩醒) 박치복(朴致馥)·단계(端溪) 김인섭(金麟燮)·후산(后山) 허유(許愈)·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과 더불어 사우(士友)를 삼았고 유학(儒學)을 진흥시키는 데 공이 많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 조성주(趙性宙) : 자는 계호(季豪)요, 호는 월산(月山)이며 본관이 함안(咸安)이다. 품질이 강명(剛明)하고 위의와 풍채의 단정하고 정결함이 신선과도 같았다. 마치 학(鶴)이 머문 것처럼 과거공부에 정진했다. 과거에 참여할 수 있었으나 마침내 예부(禮部)에서 꺾이고 말았으니 당시의 여론이 이를 애석하게 여겼다. 큰 형 월고(月皐)를 따라서 기노사(奇蘆沙)의 문하에 출입하여 그의 참된 도리를 얻어들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하조헌(河祖憲) : 자는 중희(仲希)요, 호는 월주(月洲)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양정공(襄靖公) 하경복(河敬復)의 후손이다. 학업을 종조(宗祖)뻘 되는 월촌(月村) 하달홍(河達弘)의 문하에서 받았다. 문학과 행의로 사림(士林)에서 두터운 신망을 받았다. 유집(遺集)이 있다.
○ 하응로(河應魯) : 자는 학부(學夫)요, 호는 니곡(尼谷)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설창(雪牕) 하철(河澈)의 후손이다. 강직하고 분명하면서도 기이한 재주가 있었다. 젊어서 관리가 되고자 과거장을 짊어질 것을 바랐더니 얼마 후에 되돌아서 버리고 자기를 수양하는 학문에 마음을 다했다. 더욱이 어버이 봉양하는 데에 정성을 다했다. 어버이가 세상을 떠나고서 흰 제비가 무덤에 집을 지으니 사람들이 그의 효성에 감동되어 이루어진 것이라고 일컬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최동태(崔東泰) : 자는 경구(景九)요, 호는 일계(日溪)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진사 최상갑(崔祥甲)의 손자다. 타고난 자질이 도(道)를 가까이 하고 생각하는 것과 재주가 영민하고 뛰어났다. 족조(族祖) 경재(絅齋) 최상순(崔祥純)을 따라 계호(溪湖)의 참뜻을 익혀 듣고 안선방(安仙坊)에 나갔다. 산 속에서 글을 읽어 십수 년 동안 괴로움을 무릅쓰고 공부했다. 그리하여 문지방에 창주(凔洲)라는 방(榜)을 걸고 말로서 세상을 염려했으니 그가 스스로 기약한 것의 원대함이 이와 같았다. 병인년(고종 3년, 1866)에 서양인의 소란이 일어나자 척양(斥洋)의 수천 마디 말을 만들어 한 세상을 경고했다. 문장을 만드는 데는 전아(典雅)한 법칙이 있었다.
○ 강성관(姜聖綰) : 자는 여진(汝眞)이요, 호는 후산(後山)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진사에 합격하고 행의로 당시에 존경을 받았다. 만년에는 후산정(後山亭)을 세워 장수(藏修)하는 곳으로 삼았다. 유집(遺集)이 있다.
○ 강성희(姜聖喜) : 자는 자진(子眞)이요, 호는 죽남(竹南)이니 진사 강성관(姜聖綰)의 아우다. 문학과 행의가 일찍 드러났더니 문과에 올라 정언(正言)이 되었다가 세도가 변하는 것을 보고 구원(邱園)에 물러나 학문을 강하는 데 마음을 다했다. 『심경유촬(心經遺撮)』이 있다.
○ 이직좌(李禝佐) : 자는 인원(仁源)이요, 호는 만취(晩翠)이며 본관이 재령(載寧)이니 방산(防山) 이동백(李東百)의 손자다. 재주와 슬기가 뛰어나고 학문이 일찍 성취되었다. 저술한 것으로는 『역대치안의(歷代治安議)』가 있다.
○ 이도묵(李道黙) : 자는 치유(致維)요, 호는 남천(南川)이며 본관이 성산(星山)이니 매월당(梅月堂)의 후손이다. 의표가 단정하고 학문이 깊었다. 어진 이들을 높이고 유도(儒道)를 보위하는 데 지극한 정성이 있었다. 또 『어류(語類)』의 중간(重刊)과 『기언(記言)』의 간행과 진주 도통사(道統祠)의 창건(創建)에 많은 힘을 쏟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 이도추(李道樞) : 자는 경유(敬維)요, 호는 월연(月淵)이니 남천(南川) 이도묵(李道黙)의 아우다. 어려서부터 총명하더니 장성해서는 문장이 간결한데다가 시는 더욱 평담(平淡)하고 충원(冲遠)하여 그의 풍소(風騷) 등 모든 작품들이 사람들 입에 거론되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조원순(曺垣淳) : 자는 형칠(衡七)이요, 호는 복암(復庵)이니 남명(南冥) 선생의 후손이다. 학업을 성재(性齋) 허전(許傳)과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문하에서 받아 주리(主理)의 요지를 얻어들었다. 일찍이 남명 선생의 『신명사도명(神明舍圖銘)』에 주를 달고 풀이하여 경의(敬義)를 극복하는 취지를 밝혔다. 또 선생의 문집(文集) 및 『학기(學記)』에 잘못 전해지고 그릇된 것을 감정(勘訂)하여 선생의 심법(心法)을 천명했다. 그러다가 쌓인 피로를 이겨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문집(文集)이 있다.
○ 성경승(成慶升) : 자는 하회(賀會)요, 호는 백포(柏圃)며 본관이 창녕(昌寧)이다. 성품이 본래부터 효성스럽고 우애하여 홀로 된 어머니를 봉양함에 그 정성을 극진히 했다. 큰 형이 일찍 세상을 떠나자 외로운 조카를 보살핌에 자기의 자식과 차이를 두지 않았다. 또 문학으로써 당시에 무거운 기대를 가졌더니 『구암선생문집(龜巖先生文集)』의 두 번째 간행에 공은 교정(校正) 책임으로 참여했다. 유집(遺集)이 있다.
○ 하계효(河啓涍) : 자는 해조(海朝)요, 호는 월호(月湖)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재주와 성품이 범상한 이를 뛰어넘어 어린 나이부터 이미 글을 읽을 줄 알아서 힘써 행했다. 고헌(顧軒) 정래석(鄭來錫)을 스승으로 찾아뵙고 오로지 자신을 수양하는 학문에 힘을 썼다. 또 후산(后山) 허유(許愈)와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과 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와 함께 때맞추어 달마다 서로 따라 천명과 의리를 강론했다.
○ 정봉기(鄭鳳基) : 자는 응선(應先)이요, 호는 수재(守齋)며 본관이 연일(延日)이니 옥초(玉樵) 정철기(鄭喆基)의 아우다. 덕을 임하(林下)에서 쌓고 행실을 효제(孝悌)에서 돈독하게 했다. 일찍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과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에 가서 스승으로 찾아뵙고 학문하는 요지를 얻어들었다. 위의와 용모가 단정하고 정결하여 뜻하는 바와 행동하는 것에 티가 없으니 당시 노숙(老宿)들이 ‘맑은 물의 연꽃이요 옥산의 밝은 달[淸水芙蓉 玉山明月]’이라는 8글자로 비유하여 칭찬했다. 문집(文集)이 있다.
○ 박규호(朴圭浩) : 자는 찬여(瓚汝)요, 호는 사촌(沙村)이며 본관이 밀양(密陽)이니 월당(月堂) 송호원(宋好元)의 후손이다. 임오년(고종 19년, 1882)에 진사에 올랐는데 뜻과 재주가 관통하고 명민하여 사물(事物)에 밝았다.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문하에서 유학했다. 후산(后山) 허유(許愈)·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과 더불어 간담상조(肝膽相照)하는 벗으로 사귀었다. 기미년(1919)에 파리 장서(長書) 사건으로 달성(達城) 감옥에 갇혔으나 직언으로 굴하지 않고 여러 날 동안이나 양식을 끊었다. 이 뒤로부터 문을 닫고 깊이 앉아 경적(經籍)을 강구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조호래(趙鎬來) : 자는 태긍(泰兢)이요, 호는 하봉(霞峯)이며 본관이 함안(咸安)이니 대소헌(大笑軒)의 후손이다. 성재(性齋) 허전(許傳)·만성(晩醒) 박치복(朴致馥)의 문하에서 유학하여 학문의 진결(眞訣)을 얻어들었다. 저술한 시와 문장은 평담(平淡)하면서 전아한 법칙이 있었다.
○ 하용제(河龍濟) : 자는 은거(殷巨)요, 호는 약헌(約軒)이다. 부사(府使) 하겸락(河兼洛)의 아들이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에게 사사(師事)하여 그 당시에 두터운 성망이 있었다. 또 필법이 굳세어 얻는 사람들이 보배로 삼아 쌓아두었다.
○ 조영래(趙瓔來) : 자는 태견(泰見)이요, 호는 하주(河洲)니 하봉(霞峯) 조호래(趙鎬來)의 아우다. 젊어서 기이한 기(氣)를 짊어지고 옛 문장을 익혔다. 농(農)·병(兵)·상(商)·부(賦)·음양(陰陽)·복서(卜筮)에도 통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 정면석(鄭冕錫) : 자는 성익(聖益)이요, 본관이 해주(海州)이니 농포(農圃)의 후손이다. 경인년(고종 27년, 1890)에 문과에 올라 승지(承旨)가 되었는데 풍신(風神)이 빼어나고 문학이 넉넉하니 향당에서 이를 칭찬했다.
○ 최동건(崔東建) : 자는 여인(汝寅)이요, 호는 송창(松牕)이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치암(恥庵) 최상우(崔祥羽)의 손자다. 일찍부터 장사미(張四未)와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의 문하에서 유학했다. 늦게는 이름을 감춰서 남이 알아주는 것을 구하지 않았다. 아우 최동익(崔東翼)과 더불어 형제간에 우애있게 서로 화답하니 사람들이 원방(元方)·계방(季方)이라 일컬었다.
○ 하경걸(河慶杰) : 자는 낙도(洛道)요, 호는 해산(海山)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죽헌(竹軒) 하성(河惺)의 후손이다. 성재(性齋) 허전(許傳)을 스승으로 받들었다. 침착하고 안정되어 명민했고, 경의(敬義)를 판별하고 분석하여 깊이 그 묘처를 이루었다. 「용사잠(容思箴)」을 저술했고 문집(文集)이 있다.
○ 최효근(崔孝根) : 자는 자극(子極)이요, 호는 수정(洙亭)이며 본관이 삭녕(朔寧)이니 대사간(大司諫) 최복린(崔卜麟)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조용하여 일찍이 궤도(軌道)를 넘거나 벗어나지 않았다. 성품이 또 지극히 효성스러워서 부모를 잘 섬겼으므로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았다. 일찍부터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을 스승으로 받들어 많은 권장과 허여(許與)함을 입었다.
○ 문국현(文國鉉) : 자는 태용(泰用)이요, 호는 방주(芳洲)며 본관이 남평(南平)이다. 허문헌(許文憲)을 스승으로 받들었다. 한 말씀을 구술하여 주시되 “공부는 어려움에 있지 않고 정성에 있는 것이다. 정성스러우면 쉬지 않게 된다[工夫不在於難 在於誠 誠則不息]”고 했다. 공은 모든 벼슬아치에게 글을 주었으니 그의 말과 행하는 일은 한결같이 성(誠)에서 나왔다. 또 단계(端溪) 김인섭(金麟燮)의 문하에 출입했고 유집(遺集)이 있다.
○ 정은교(鄭誾敎) : 자는 치학(致學)이요, 호는 죽성(竹醒)이며 농포(農圃) 정문부(鄭文孚)의 후손이다.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문인으로 진실되게 궁구하고 학문을 좋아하며 돈독한 행실을 실천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게 된 것을 가슴 아프게 여기더니 경술년(융희 4년, 1910)에 회갑(回甲)의 나이로 3년을 추복(推服)했다. 또 고종(高宗)이 승하(昇遐)한 뒤로는 종신토록 흰 옷을 입었다. 유고(遺稿)가 있다.
○ 하긍호(河兢鎬) : 자는 면지(勉之)요, 호는 황계(篁溪)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경전을 궁구하고 예(禮)를 밝히며 실천을 힘쓰고 윤상(倫常)을 독실하게 했다. 또 『소학(小學)』과 『가례(家禮)』로써 몸을 규율하는 준칙을 삼았다. 유고(遺稿)가 있다.
○ 정윤(鄭潤) : 자는 형중(亨重)이요, 호는 양호(楊湖)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은렬공(殷烈公)의 후손이다. 용모가 맑고 빼어났으며 의표(儀表)가 시원스러웠다. 문과에 올라 승정원 주서(承政院注書)에 이르렀다. 성재(性齋) 허전(許傳)에게 사사했고 시랑(侍郞) 한기동(韓耆東)과 함께 좋은 친구로 사귀었다. 얼마 되지 않아 갑오경장(甲午更張)을 만나 단발령(斷髮令)이 내려져 번연히 돌아오기를 결심했다. 집으로 돌아와서는 남들과 교류하는 것을 완전히 끊고 그 몸을 마쳤다. 문집(文集)이 있다.
○ 이택환(李宅煥) : 자는 형락(亨洛)이요, 호는 회산(晦山)이다. 문예를 일찍 이루어서 사부(詞賦)로써 세상을 울렸다. 문과에 올라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이 되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이희석(李熙奭) : 자는 성여(聖汝)요, 호는 만회(晩悔)다. 일찍부터 사부(詞賦)를 힘써서 표일하고 쇄락한 글을 잘 짓는다는 명성이 있었다. 지역 안의 이름난 산수(山水)에서 놀기를 좋아하여 마음에 드는 곳을 만나면 자신의 모습도 잊어버리고 길게 읊조렸다. 본주의 목사(牧使) 정현석(鄭顯奭)이 크게 학정(學政)을 일으키고 공을 교장(校長)으로 삼으니 향리의 자제에게 배움을 주어 풍속을 교화하는 데에 힘썼다.
〇 이호근(李鎬根) : 자는 회주(晦周)이고, 호는 모당(某堂)이며 성산(星山)사람이다. 경매헌(景梅軒) 이도연(李道淵)의 아들이다. 관직은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였다. 널리 배우고 글을 잘 하였으며 자신을 맑게 수양하는 것을 실천하였고, 의리(義理)와 정사(正邪)를 구분하는데 밝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〇 김종우(金宗宇) : 자는 주서(周胥)이고, 호는 정재(正齋)이며 경주(慶州)사람이다. 성품이 총명해서 기억을 잘하였고 여러 가지 서책을 넓게 보았다. 또 글 짓는 일에 능하여 사람들이 많이들 외워서 전하였다. 늙어서 백곡(柏谷)에 서실을 지어서 살았다.
〇 최윤모(崔允模) : 자는 경효(景孝)이고, 호는 월교(月僑)이며 전주(全州)사람이다. 인품이 고상하고 표일하였다. 글을 짓는 것이 넉넉하였고 명민하여 일찍부터 명성과 칭찬이 있었다. 불행하게도 일찍 죽어서 사우들이 애석해 하였다. 문집(文集)이 있다.
〇 신진구(申鎭求) : 자는 천약(天若)이고, 호는 창남(滄南)이다. 성품이 침착하고 조용하여 간명하고 전아하였다. 어려서부터 명예스런 벼슬길을 달갑게 여기지를 않았고 마음을 오로지 하여 배움에 열심이었다. 지은 시(詩)와 부(賦)가 사람들 입에 많이 오르내린다.
〇 정준교(鄭準敎) : 자는 시약(時若)이고, 호는 만산(晩山)이며, 해주(海州)사람이니 기재(跂齋) 정광우(鄭光祐)의 아들이다. 효성과 우애가 하늘로부터 타고 났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었음으로 어버이께 효도하고 봉양할 수 없는 것을 평생의 지극한 한으로 여겼다. 동생 정상교(鄭庠敎)와 함께 날마다 하루에 한 번씩 성묘하였다. 일찍이 형의 병 수발에 약탕을 끓이고 씻는 수고를 한번도 다른 이에게 대신하게 하지 않았다. 늙어서도 학문을 좋아하여 당호를 만산(晩山)이라고 편액하였다. 유고(遺稿)가 있다.
〇 박홍화(朴洪和) : 자는 인덕(仁德)이고, 호는 저산(樗山)이며 밀양(密陽)사람이니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후손이다. 자질이 청수하고 재주가 뛰어났으며 학문이 깊고 행실이 깨끗하였다. 명성과 이익을 구하지 않고 종적을 산수 간에 놓았다. 시를 읊는 것으로 스스로 즐거워하였으며 『주역(周易)』의 학문에도 정통하였다. 「하락도설(河洛圖說)」을 저술하였고 유고(遺稿)가 있다.
〇 김택영(金宅永) : 자는 응도(膺圖)요, 호는 헐후(歇后)며 의성(義城)사람이니 야은(野隱) 김홍진(金弘鎭)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집안의 가르침을 이어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문하에 나아가 수업하였다. 문학과 행의로써 사우들에게 의지하고 중시하는 바가 되었다. 유집(遺集)이 있다.
〇 성율(成溧) : 자는 국빈(國彬)이요, 호는 손암(損庵)이니 창녕(昌寧)사람이다. 시와 부에 정통한 재주가 있어 잘한다는 명성이 있었다. 곤궁하였으나 가진 뜻을 바꾸지 않았으며 선조를 위하는 일을 밝히고 유학(儒學)을 붙잡고 지탱하는데 힘을 다하였다. 유고(遺稿)가 있다.
〇 하헌진(河憲鎭) : 자는 맹여(孟汝)요, 호는 극재(克齋)니 진양(晉陽)사람으로 동료(東寮) 하재문(河載文)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몸가짐에 법도가 있었고 언어가 편안하고 자상하였음으로 어른들이 모두들 원대한 성취를 기약하였다. 장성하여서 학문에다 마음을 오로지하여 자기의 사사로운 욕심을 이겨내어 예를 회복[克己復禮]하는 것으로 공부하는 근본을 삼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〇 이상돈(李相敦) : 자는 내희(乃熙)요, 호는 물재(勿齋)라고도 하며 또는 남총(南叢)이라고도 하는데 재령(載寧)사람이다. 문헌공(文憲公) 성재(性齋) 허전(許傳)에게 수업하여 지조를 지킴이 굳고 확실하였다. 논의를 주장함이 날카롭고 정연하여 시비를 결정하고 의리를 변론하는데 이르러서는 비록 여러 사람들의 논의가 번잡하여도 그들의 논리를 꺽은 것이 적지 않았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복암(復庵) 조원순(曺垣淳)과 함께 모여 청곡사(靑谷寺)에서 『산해집(山海集)』의 새로운 판본에 있던 오류를 교정하였다.
〇 김극영(金克永) : 자는 순부(舜孚)요, 호는 매서(梅西)니 의성(義城)사람이다. 천성이 옛 학문을 좋아하고 사모하여 정학(正學)을 부지하고 이단의 가르침을 배척하였다. 경술년(1910)의 국변 후에는 만암산(晩岩山) 중에 들어가 곤궁한 것을 당연히 여긴 채 독서하면서 후진을 가르쳤다. 문집(文集)이 있다.
〇 구연호(具然鎬) : 자는 봉규(奉圭)요, 호는 만회(晩悔)고 능성(綾城)사람이다. 총명이 절륜하여 남보다 넘어서고 위의와 풍도가 일찍부터 넉넉하였다. 고종(高宗) 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교리(校理)를 지냈다. 일찍이 서울에서 성재(性齋) 허전(許傳)·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을 찾아뵙고 학문하는 방도와 출처하는 의리를 질의하였다. 경술년(1910) 국변 후에는 대문을 걷어 닫은 채 다시는 얼굴을 씻거나 빗질하지 않은 채 자신이 지키고자하는 뜻을 행하려 하였다. 문집(文集)이 있다.
〇 강찬규(姜纘奎) : 자는 문윤(文允)이요, 호는 만우(晩愚)니 진양(晉陽)사람이다.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주가 있어서 과거보는 것을 업으로 하였다. 문장을 잘한다는 명성이 있었으며 또 성품이 독실하고 효성스러웠다. 집이 매우 가난하였는데도 부모를 섬기는데 맛있는 음식을 잘 공급하였다. 죽음에 이르러서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이 만시(輓詩)로써 곡하기를 ‘기개는 허공을 가로 질러 원대하였고 풍도와 위의는 좌중을 사로잡을 정도로 향기로웠네[氣槪橫空遠 風儀滿座薰]’라고 하였다.
〇 최제태(崔濟泰) : 자는 이앙(而仰)이요, 호는 송와(松窩)고 전주(全州)사람이니 귤하(橘下) 최식민(崔植民)의 아들이다. 일찍부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의 문하에 유학하여 문장이 어눌한 것으로 변설을 감당하였다.
〇 하재성(河在聖) : 자는 원가(元可)요, 호는 성고(省皐)니 쌍강(雙岡) 하홍운(河弘運)의 아들이다.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문하에서 수업하였으며 선비의 행실이 있었다. 재종질 하겸진(河謙鎭)과 일찍이 쌍강공에게 배웠었는데 쌍강공이 더러 병 때문에 수업할 수가 없게 되면 반드시 공으로 하여금 대신하여 수업하게 하였다. 유고(遺稿)가 있다.
〇 양주형(梁柱泂) : 자는 문거(文擧)요, 호는 청계(淸溪)고 남원(南原)사람으로 죽파(竹坡) 양식영(梁湜永)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동료들을 깨우친다는 명예가 있었다. 늘 다정재(茶亭齋)에서 기거하면서 직접 『현성도명(賢聖圖銘)』을 써서 놓고 아침저녁으로 보면서 스스로를 성찰하였다. 문집(文集)이 있다.
〇 정한균(鄭漢均) : 자는 응원(應遠)이요, 호는 설파(雪坡)이고 석정(石亭) 정홍조(鄭弘祚)의 후손이다. 천성이 순박하고 후덕하였고 효성과 우애가 독실하였다. 부친의 병환이 6년째 이르도록 시탕함에 조금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학문에 부지런하였으며 겸하여 예서(隸書)를 쓰는 것에도 절묘하여서 당시의 사람들이 ‘운곡(雲谷)에 여덟 사람의 재주있는 선비가 있다[雲谷有八才士]’ 하였는데 공이 그 중의 한 사람이다. 유고(遺稿)가 있다.
〇 최명희(崔命熙) : 자는 우교(禹敎)요, 호는 효당(曉堂)이니 가천(可川) 최정기(崔正基)의 아들이다. 재주가 민첩하고 생각하는 것이 영오하여 널리 듣고 기억을 잘 하였다.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에게 글로 제자가 되어 학문하는 지결을 듣게 되었다. 늦게서야 명성이 드러났는데 무릇 유림에 일이 있으면 많이들 공에게 물어서 결정하였다. 편찬한 『철성지(鐵城志)』와 문집(文集)이 있다.
〇 이도면(李道勉) : 자는 치중(致中)이요, 호는 용호(龍湖)이고 성산(星山)사람이다. 재주와 기국을 펼치는 것이 탁월하였고 풍도가 장중하고 깊이가 있었다. 일찍이 진사가 되었고 문장으로써 명성이 드러났다.
〇 정돈균(鄭敦均) : 자는 국장(國章)이요, 호는 해사(海史)이고 진양(晉陽)사람이니 허재(虛齋) 정지탁(鄭志倬)의 후손이다. 용모가 크고 훤칠하였으며 기개와 도량이 헌앙하여 장자(長者)로서의 기국과 풍도가 있었다. 일찍부터 월촌(月村) 하달홍(河達弘)·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 문하에 족형인 운파(雲坡) 정한균(鄭漢均)과 함께 유학하여 강마하고 의심난 것을 질의였다. 유집(遺集)이 있다.
〇 이수면(李壽冕) : 자는 화백(華伯)이고, 호는 회운(晦雲)이며 재령(載寧)사람으로 모은(茅隱) 이오(李午)의 후손이다. 성품이 본래 효성스럽고 우애하였다. 또 학문에 부지런하여 늙도록 게으르지 않아 명망과 실상이 함께 융성하였다. 유집(遺集)이 있다.
〇 조찬규(趙纘奎) : 자는 자술(子述)이요, 호는 석와(石窩)며 함안(咸安)사람이이다. 성품이 고요한데다 맑고 깨끗하여 사물에 휩쓸리지 않았다. 오직 선조를 넉넉하게 잇는 것으로써 후손을 위하는 계책으로 일생을 마쳤다. 날마다 집안의 동생 항재(恒齋) 조진규(趙縉奎)와 함께 강마하여 서로 도움이 되었으며 늙도록 더욱 돈독하였다.
〇 하봉수(河鳳壽) : 자는 채오(采五)요, 호는 백촌(柏村)이니 진양(晉陽)사람으로 양정공(襄靖公) 하경복(河敬復)의 후손이다. 재주와 기량을 펴는 것이 뛰어나고 문장이 넉넉하였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을 사사하여 주리설(主理說)의 지결을 들었다. 평생토록 후진들을 많이 장려하여 나아가게 하였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한유(韓愉) : 자는 희녕(希甯)이요, 호는 우산(愚山)이며 본관이 청주(淸州)이니 문경공(文敬公) 한상경(韓尙敬)의 후손이다. 널리 배워 경전의 의미에 정통했고 자기주장을 글로 펴내었으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뜻을 발휘했다. 간재(艮齋) 전우(田愚)와 함께 백운정사(白雲精舍)에 모셔졌다. 문집(文集)이 있다.
○ 최동익(崔東翼) : 자는 여경(汝敬)이요, 호는 청계(晴溪)이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치암(恥庵) 최상우(崔祥羽)의 손자다. 학업을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의 문하에서 받았더니 총명이 절륜하여 많은 글들을 잘 기억했다. 후산(后山) 허유(許愈)와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과 농산(農山) 장승택(張升澤)을 따라 「명덕이기설(明德理氣說)」로써 주고받으며 논변했다. 경술년 이후에는 집에서 문을 닫고 스스로 편안하려 했으며 「무하선생전(無何先生傳)」을 지어 뜻을 보였다. 저술로서는 「이기동정변(理氣動靜辯)」과 『협음운휘(叶音韻彙)』 및 문집(文集) 10권이 있어 세상에 행한다.
○ 박태형(朴泰亨) : 자는 문행(文行)이요, 호는 간암(艮庵)이니 치암(恥庵) 박충좌(朴忠佐)의 후손이다. 학업을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에게서 받았는데 학문이 순정(純正)하고 행의가 함께 갖추어졌다. 어머니의 병에 빙어(氷魚)의 이상이 있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이수필(李壽弼) : 자는 정윤(廷允)이요, 호는 소산(素山)이니 본관이 재령(載寧)이다. 재주와 기량이 뛰어났다. 무릇 글을 읽을 때에 10행을 한꺼번에 내려 읽었고 한번 보면 바로 기억했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가난에 상하여 그 학업을 크게 이룰 수 없었으니 사람들이 모두 애석하게 여겼다. 유고(遺稿)가 있다.
○ 조진규(趙縉奎) : 자는 자운(子雲)이요, 호는 항재(恒齋)니 석와(石窩) 조찬규(趙纘奎)의 아우다. 경사(經史)와 백가(百家)를 거의 섭렵했다. 문사(文詞)가 넉넉하니 당시에 명망이 우뚝했다.
○ 하재도(河載圖) : 자는 희문(羲文)이요, 호는 사와(士窩)니 니곡(尼谷) 하응로(河應魯)의 아들이다. 성품이 너그럽고 덕량(德量)이 있었으며 의관(衣冠)이 정결(整潔)했다. 시서(詩書)를 업(業)으로 하여 유림에 명망이 드러나더니 남강(南江) 서쪽의 여러 친구들과 함께 조계(潮溪)의 강 위에 만수당(晩修堂)을 세우고 만년에 유람하고 휴식을 취하는 처소로 삼았다
○ 최도섭(崔道燮) : 자는 면부(勉夫)요, 호는 청강(聽江)이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다. 하수(霞叟) 최롱(崔瀧)의 아들이다. 집안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일찍부터 스스로 자립했다.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을 스승으로 받들어 계호(溪湖)의 지결(旨訣)을 들었다. 돈독하게 믿기를 평생토록 이어가고 다른 갈래에 의혹되지 않았으며 문학과 행의로 사림(士林)에게 추중(推重)되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정제용(鄭濟鎔) : 자는 형노(亨櫓)요, 호는 계재(溪齋)니 본관이 연일(延日)이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을 스승으로 받들어 문학과 행의가 일찍 드러났다. 문집(文集)이 있다.
○ 최경병(崔瓊秉) : 자는 영호(永好)요, 호는 수당(修堂)이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죽당(竹塘) 최탁(崔濯)의 후손이다. 성품이 돈후하고 간결하고 바르며 진실되게 궁구하고 돈독하게 행했다. 항상 선재(先齋)에서 기거하면서 여러 생도들을 가르치고 깨우쳤다.
○ 하치호(河致鎬) : 자는 성려(聖呂)요, 호는 괴정(槐亭)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송헌(松軒) 하명세(河命世)의 손자다. 젊어서부터 힘써 배워서 문예가 일찍 성취되었다. 여러 번 향시에 합격했으나 뜻을 품은 채로 일찍 세상을 떠나니 사림(士林)이 모두 애석하게 여겼다. 유고(遺稿)가 있다.
○ 하지호(河智鎬) : 자는 겸수(兼洙)요, 호는 명와(明窩)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운수당(雲水堂) 하윤(河潤)의 후손이다. 애산(艾山) 정재규(鄭載圭)의 문인이다.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럽고 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또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의 문하에서 부지런히 힘을 써 여러 번 추장과 허여(許與)를 입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조용숙(趙鏞肅) : 자는 사흠(士欽)이요, 호는 복재(復齋)며 본관이 함안(咸安)이다. 성품과 도량이 너그럽고 두터웠다. 시와 문장이 개운했으며 문사(文詞)가 맑고 표일하니 사람들이 ‘정금미옥(精金美玉)’이라 일컬었다. 늦게는 서강정사(西岡精舍)를 세워 은거했다.
○ 구연하(具然夏) : 자는 이즙(而楫)이요, 호는 은산(隱山)이니 본관이 능성(綾城)이다. 성품과 바탕이 온아하고 순수했다. 재주와 지혜가 평범한 이를 뛰어넘었으며 뜻을 돈독히 하고 힘써 배워서 일찍부터 문명이 있었다. 『명곡집(明谷集)』과 『예곡집(禮谷集)』의 간행에 더욱 힘을 쏟았다.
○ 조용상(曺庸相) : 자는 이경(彛卿)이요, 호는 현재(弦齋)니 복암(復庵) 조원순(曺垣淳)의 아들이다. 천성이 삼가하며 독실했고 풍채가 단아하고 엄정했다. 독서를 부지런히 하여 먹고 자는 것을 잊기에 이르렀다. 일찍 계남(溪南) 최숙민(崔淑民)·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두 문하를 따라 가르침을 많이 받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하계락(河啓洛) : 자는 도약(道若)이요, 호는 옥봉(玉峰)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송강(松岡) 하항(河恒)의 후손이다. 평생토록 독서를 좋아했고 학업을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 문하에서 받았으며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과 더불어 좋은 친구로 사귀어 함께 만수당(晩修堂)을 지었다.
○ 허민(許玟) : 자는 중현(仲玹)이요, 호는 옥봉(玉峰)이며 본관이 김해(金海)이니 부총관(副摠管) 허동립(許東岦)의 후손이다. 돈독한 행실로 학문을 좋아하더니 일찍부터 과거 보는 공부를 폐지했다.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문하에서 유학하여 권장하고 인도받는 것을 많이 입었다. 집의 동쪽 성현동(聖賢洞)으로 나아가서 두어 칸의 집을 짓고 여기에서 노년을 마쳤다.
○ 하재봉(河在鳳) : 자는 명가(鳴可)요, 호는 덕봉(德峯)이니 함와(涵窩) 하이태(河以泰)의 증손이다. 재주와 학문이 뛰어나더니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과 더불어 문중의 친척이면서 겸하여 도의(道義)로 사귀어 학문을 토론하며 시를 주고받았다. 유집(遺集)이 있다.
○ 박헌수(朴憲脩) : 자는 영숙(永叔)이요, 본관이 밀양(密陽)이니 사촌(沙村) 박규호(朴圭浩)의 조카이다. 의표가 순수하여 타고난 그대로였고 빠른 말이나 갑자기 얼굴빛을 변하는 일이 없었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이 부친과 동갑이었기 때문에 가르침에 더함이 있었다. 또 학업을 물천(勿川) 김진호(金鎭祜)의 문하에서 받아 추장(推獎)과 허여를 많이 입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하우식(河祐植) : 자는 성락(聖洛)이요, 호는 담산(澹山)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단파(丹坡) 하계룡(河啓龍)의 아들이다. 학업을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의 문하에서 받고 분명하게 통달했으며 기억력이 좋았다. 깊은 학문과 높은 행실로 당시에 칭찬을 받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하경락(河經洛) : 자는 성권(聖權)이요, 호는 제남(濟南)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일헌(一軒) 하해관(河海寬)의 후손이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인데 재주와 바탕이 평범치 않았다. 어릴 때 이미 자신을 수양하는 학문을 알아서 착실히 하기를 그만두지 않더니 마침내 대업(大業)을 이루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조현규(趙顯珪) : 자는 효근(孝謹)이요, 호는 복재(復齋)며 본관이 함안(咸安)이니 대소헌(大笑軒)의 맏손자이다. 타고난 성품이 고매하고 학식이 해박했다. 「예설(禮說)」을 저술해 선유(先儒)의 취지를 드러냈다. 일찍이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서 유학하여 여러 번 추장과 허여를 입었다.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과 수시로 만나 추종하면서 천명(天命)과 의리(義理)를 강하며 물었다. 유집(遺集)이 있다.
○ 하영태(河泳台) : 자는 여해(汝海)요, 호는 관료(寬寮)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현재(顯齋) 하경현(河景賢)의 현손이다. 타고난 자질이 영특하고 문학에도 조예가 깊었다. 일찍이 학업을 삼종숙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에게서 받고 또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서 유학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이현욱(李鉉郁) : 자는 보경(普卿)이요, 호는 동암(東庵)이니 본관이 재령(載寧)이다. 진실되게 궁구하고 힘써 배우다가 늦게야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에게 가르침을 청했다. 또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과 청계(晴溪) 최동익(崔東翼)을 따라 강마하는 도움이 있었다.
○ 김종두(金宗斗) : 자는 남칠(南七)이요, 호는 송파(松坡)니 본관이 경주(慶州)이다. 일찍부터 재주와 명성이 있었다. 문장에 능했으며 ‘강서의 여덟 재사[江西八才士]’라고 불렸으며 아우 송계(松溪) 김종하(金宗夏)와 함께 힘써 나아가면서 도움을 얻었다.
○ 양주희(梁柱熙) : 자는 자인(子仁)이요, 호는 회곡(晦谷)이니 본관이 남원(南原)이다. 재주와 슬기가 영특하여 십여 세에 명성과 소문이 이미 크게 떨쳤다. ‘강서의 여덟 재사[江西八才士]’가 있다고 일컬었는데 공은 그 중의 한 사람이다. 성품이 또 효성스럽고 우애하며 근검(勤儉)하여 비록 누추하고 가난한 데에 처하더라도 서글퍼하는 모습이 없었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하치윤(河致潤) : 자는 낙범(洛範)이요, 호는 학고(鶴皐)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문효공(文孝公) 하연(河演)의 후손이다. 타고난 바탕이 온아하고 문학이 일찍 성취되었다. 불행히도 일찍 세상을 떠나니 사우(士友)들이 애석하게 여겼다. 유집(遺集)이 있다.
○ 성영근(成永根) : 자는 인가(仁可)요, 호는 서계(西溪)니 본관이 창녕(昌寧)이다. 몸가짐이 빼어나고 평생토록 빠른 말이나 갑자기 얼굴빛을 변하는 일이 없었으며 늦게는 사림(士林)을 사랑하여 산의 깊숙한 곳에 가족을 이끌고 가서 살면서 서책과 더불어 생활했다.
○ 이용(李鎔) : 자는 자용(子庸)이요, 호는 노계(老溪)니 본관이 성주(星州)이다. 타고난 바탕이 간중하고 침착하여 거짓말을 하거나 함부로 웃지 않았다. 스스로 그 분수를 다해 세상에 구하지 않았다.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이 ‘고을의 충신한 사람[十室忠信]’이라고 칭찬했다.
○ 하경규(河慶圭) : 자는 석우(錫禹)요, 호는 옥천(玉泉)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죽촌(竹村) 하윤일(河潤一)의 후손이다. 총명과 지혜가 절륜하여 경학(經學)에 깊이 몰두했다. 지조와 행실을 바르게 하고 조심하여 법도를 넘지 않았다. 유고(遺稿)가 있다.
○ 강수환(姜璲桓) : 자는 원회(源會)요, 호는 설악(雪嶽)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매오(梅塢) 강건(姜鍵)의 손자다. 품성이 온아하고 침잠하여 학문을 돈독히 했다. 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주역연의(周易演義)』·『중범가의(中範家儀)』 등을 저술했다.
○ 하장환(河章煥) : 자는 경연(絅然)이요, 호는 일암(逸庵)이니 본관이 진양(晉陽)이다. 천성이 강개하고 재주가 영민하고 뛰어났는데 경술년(융희 4년, 1910)의 국변(國變) 후로는 백립(白笠)을 쓰고 몸을 마쳤다.
○ 성석근(成石根) : 자는 옥여(玉汝)요, 호는 금고(琴皐)니 본관이 창녕(昌寧)이다. 타고난 바탕이 영특하고 하는 행실이 고결하여 평생토록 속된 것을 따라 부앙(俯仰)하지 않았다. 정자를 서천(西泉) 위에 세우고 문을 닫아건 뒤 스스로 마음을 편하게 지냈다. 날마다 뜻을 같이하는 여러 공들과 함께 시문을 주고받으며 서로 즐겼다. 유집(遺集)이 있다.
○ 이종호(李鍾浩) : 자는 맹규(孟圭)요, 호는 척재(拓齋)니 본관이 재령(載寧)이다. 이른 나이에 뜻을 학문에 두어 학업을 청계(晴溪) 최동익(崔東翼)에게 배우고 또 일산(一山) 조병규(趙昺奎)·조서천(趙西川)·우산(芋山) 이훈호(李熏浩)·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 등 여러 이름난 큰 선비들을 따라 돕고 유익되는 바가 많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하우(河寓) : 자는 광숙(廣叔)이요, 호는 잠재(潛齋)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감찰(監察) 하맹곤(河孟崑)의 후손이다. 뜻을 독실하게 하고 힘써 배웠다. 아침 끼니를 잇지 못해도 평안했다. 족친인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과 더불어 강마하여 도움을 주고 이익을 받았다.
○ 이용수(李瑢秀) : 자는 성여(性汝)요, 호는 성암(性菴)이며 본관이 전주(全州)이니 명헌공(明憲公) 이세영(李世榮)의 후손이다. 학업을 일산(一山) 조병규(趙昺奎)의 문하에서 받았다.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심재(深齋) 조긍섭(曺兢燮)과 더불어 도의(道義)로 서로를 탁마했다. 일찍이 손수 은행나무를 심고 돌을 쌓아 단(壇)을 만들어 이름을 ‘모로(慕魯)’라 이르고 시를 지어 뜻을 보였다.
○ 하계휘(河啓輝) : 자는 봉조(鳳朝)요, 호는 아단(我丹)이며 본관이 진양(晉陽)이니 한시당(恨是堂) 하정범(河正範)의 증손이다. 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의 문인이더니 세변이 있은 뒤로부터는 은거하며 문을 닫고 경적(經籍)에 잠심했다. 문집(文集)이 있다.
○ 성환부(成煥孚) : 자는 인술(仁述)이요, 호는 정곡(正谷)이니 송남(松南) 성익(成瀷)의 손자다. 천성이 맑고 굳세었으며 학문과 식견이 넉넉했다. 선인을 이어받고 후인을 넉넉히 하는 데에 모두 법도가 있었다. 집이 가난한데도 어버이가 늙자 극진히 봉양했다.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하백촌(河柏村) 등 여러 어진 이와 더불어 만수당(晩修堂)을 세우고 아침저녁으로 도의(道義)를 강마했다.
○ 한우석(韓禹錫) : 자는 군세(君世)요, 호는 원곡(元谷)이니 본관이 청주(淸州)이다. 일찍이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물천(勿川) 김진호(金鎭祜)·이대계(李大溪)의 문하에 출입하여 학문하는 지결(旨訣)을 들었다. 또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하백촌(河柏村) 등 여러 어진 이들과 함께 만수당(晩修堂)을 조계(潮溪)에 세우고 만년에 따라 노는 장소로 삼았다. 문집(文集)이 있다.
○ 장재한(張在翰) : 자는 노약(魯若)이요, 호는 분계(汾溪)이며 본관이 단양(丹陽)이니 판서(判書) 장천지(張天志)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화려한 재주가 범속한 이들을 뛰어넘었고 행동하는 것이 침착하면서도 진중했다. 문장으로 이름이 일찍 드러났었다. 문집(文集)을 남겼다.
○ 조병희(曺秉憙) : 자는 회중(晦仲)이요, 호는 회와(晦窩)이며 본관이 창녕(昌寧)이니 남명(南冥) 선생의 후손이다. 학업을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에게 배워 문학으로 이름이 알려졌다. 문집(文集)이 있다.
○ 김원(金源) : 자는 중호(仲號)요, 호는 연곡(淵谷)이며 본관이 의성(義城)이니 동강(東岡) 김우옹(金宇顒)의 후손이다. 젊어서부터 재주와 명성이 있었다. 경사(經史)에 널리 통했는데 더욱 『주역(周易)』에 힘썼다. 후산(后山) 허유(許愈)·만구(晩求) 이종기(李種杞)·물천(勿川) 김진호(金鎭祜)를 따라 추장과 허여를 많이 입었다. 유집(遺集)이 있다.
○ 정종학(鄭鍾翯) : 자는 학일(鶴一)이요, 호는 운재(雲齋)니 운파(雲坡) 정한균(鄭漢均)의 아들이다. 천성이 단아하고 학문이 일찍 이루어졌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이대계(李大溪)·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의 문하에서 공부하더니 불행하게도 일찍 세상을 떠났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와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은 슬픈 글을 지어 곡(哭)했다. 유집(遺集)이 있다.
○ 한석동(韓石東) : 자는 국명(國明)이요, 호는 회산(晦山)이니 본관이 청주(淸州)이다. 학업을 이남(夷南) 박길환(朴吉煥)과 신암(信菴) 이준구(李準九)의 문하에서 받아 학문하는 방법을 들었다. 다시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문하에서 배움을 청했다. 문집(文集)이 있다.
○ 한항(韓恒) : 자는 도장(道章)이요, 호는 가암(可庵)이니 우산(愚山) 한유(韓愉)의 아우다. 적게 하는 마음으로 근신하고 실천이 독실했다. 형을 따라 힘써 매진하여 서로 도움을 얻어 친구들에게 추중(推重)되었다. 유고(遺稿)가 있다.
○ 정덕영(鄭德永) : 자는 직부(直夫)요, 호는 위당(韋堂)이니 본관이 연일(延日)이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와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을 스승으로 받들었다. 문학과 행의로써 칭송을 받았다
○ 이병화(李柄和) : 자는 탁여(卓汝)요, 호는 이당(頤堂)이며 모당(某堂) 이호근(李鎬根)의 아들이니 본관이 성산(星山)이다. 뜻과 기상이 청명하고 문학이 일찍 이루어져 명망이 사우(士友)에게서 드러났다. 유고(遺稿)가 있다.
○ 허만책(許萬策) : 자는 경교(敬敎)요, 호는 회당(晦堂)이며 본관이 김해(金海)이니 연당(蓮塘) 허립(許岦)의 후손이다. 타고난 자질이 빼어나고 학문이 정미하고 깊었다. 어버이를 섬김에 지극한 정성이 있었다. 경인년(1950)의 변란에 어버이를 등에 업고 포탄 속에서 피난했으나 상한 데가 없었다. 사람들이 효성에 감동된 것이라고 일컬었다. 유고(遺稿)가 있다.
○ 박원종(朴遠鍾) : 자는 성진(聲振)이요, 호는 직암(直庵)이다. 재주와 자질이 민첩하고 지혜로워 문사가 일찍 성취되었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의 문하에서 공부하여 독실하게 믿고 의심하지 않았다.
○ 박응종(朴膺鍾) : 자는 경우(景愚)요, 호는 이당(易堂)이며 본관이 밀양(密陽)이니 송월당(松月堂)의 후손이다. 재주와 슬기가 절륜하여 일찍부터 문학의 명성이 있었다.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과 회봉(晦峯) 하겸진(河謙鎭)의 문하에서 학업을 배워 학문하는 지결(旨訣)을 들었다. 나이 27세에 세상을 떠나니 사림(士林)들이 매우 애석히 여겼다.
○ 하용환(河龍煥) : 자는 자도(子圖)요, 호는 운석(雲石)이니 옥봉(玉峯) 하계달(河啓達)의 아들이다. 성품이 너그럽고 문학이 넉넉하여 당시에 명망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