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
-
충청남도 논산시에서 부모를 지극한 정성으로 섬긴 자식을 일컫는 말.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충신·효자·열녀에 대한 포장(襃獎)이 수여되었다. 유교적 산물인 충·효·열 삼강에 대한 관념은 유교가 수용되어 정착된 후대에 형성되었을 터이지만, 충신이나 효자에 대한 칭송이나 포장은 고대부터 있었다. 유교적 이념을 기반으로 해 효도를 중요시한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효자...
-
조선 전기 논산 출신의 유생이자 효자. 자는 공직(公直), 호는 중화재(中和齋).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를 지낸 강의(姜毅)이다. 강응정은 부모에 대한 효가 지극하여 1470년(성종 1) 효행으로 관직에 천거되었으나 이를 사양하였다. 1483년 생원시에 합격한 뒤 성균관 유생으로 김용석(金用石), 신종호(申從濩), 박연(朴演), 손효조(孫孝祖), 정경조(鄭敬祖), 권주(權柱) 등과...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김기범은 현재의 논산시 관촉동에 살면서 부모님이 90세 이상 장수할 때까지 효를 다하였다. 부모님이 드시고 싶어 하는 음식은 반드시 구해다 드렸는데, 어느 날 어머니가 노쇠하여 중풍이 걸리고 눈까지 어두워져 앞을 분간하지도 못하게 되자 아침저녁으로 음식을 직접 떠서 드렸다. 또한 아버지가 갑자기 병석에 누운 뒤 잉어탕이 먹고 싶다고 하자 엄동설한인데도...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아버지는 통정대부 김영선이다. 김봉수는 어려서부터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신독재(愼獨齋) 김집(金集)의 밑에서 예학을 배웠다.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어려운 집안 형편 속에서도 홀어머니를 모시면서 지극 정성으로 봉양하였다. 좋은 음식이 생기면 배가 고파도 참고 어머니에게 갖다드렸다. 어머니가 73세의 고령이 되어 병환으로 자리...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후손이다. 김상규는 어릴 적부터 효심이 깊고 어른을 모시는 예절이 남달라 주변 사람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어머니가 병환 중일 때는 얼음을 깨고 물고기를 잡아서 올렸으며, 한겨울에 눈이 쌓였을 때도 참외를 구해 드렸다. 또한 아버지가 병환 중일 때는 대소변의 맛을 보고 병세가 좋지 않음을 느끼고 대신...
-
조선 말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아버지는 성의재(誠意齋) 김국현(金國鉉)이다. 어느 해 아버지가 중환으로 위독해지자 계모 정씨가 손가락을 찢어 수혈하여 수일을 연명하였으나 끝내 병을 치유하지 못하고 죽었다. 그런데 계모 정씨가 그때의 여독으로 인해 배종(背腫)이 생겨 위중하게 되자 친어머니와 같이 시탕간병(侍湯看病)에 정성을 다하고 종처(腫處)를 수차 입으로 빨...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5세손이다. 김우택은 어려서부터 효심이 깊어 부친의 병환 시에 찬물에 목욕하며 쾌유를 빌었으며 변을 맛보고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였다. 부친상을 당해서는 3년간을 반찬없이 죽만 먹고 지냈으며 3년 동안 성묘를 하루도 빠지지 않았다. 어머니가 머리에 종기를 앓고 있을 때는 3주일 동안 입으로 빨아내어 완치시켰다. 하...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사계 김장생의 후손이다. 김재경은 광산김씨 7대조에 자손이 없어 양자로 들어갔다. 양자로 들어간 뒤에 양어머니가 아들 삼형제를 두게 되어 구박을 받았으나 친부모에게 다하지 못한 효도를 양부모를 위하여 다하였다. 양어머니는 처음에는 달갑게 여기지 않았으나 그의 마음이 변함없고 진심함을 알고 난 후에는 친아들처럼 잘 보살펴 주었다....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영, 호는 춘당. 아버지는 김기범(金箕範)이다. 김재준은 어려서부터 유학의 예법을 익히고 장성하여 부모에게 효를 다하였다. 아버지가 병환으로 자라에 눕게 되자 매일 대소변을 직접 처리하면서 병세를 알아보려고 대변 맛을 보며 약을 선택하여 달여서 드렸다. 교관을 지냈다. 묘소는 논산시 관촉동 반야산에 있다. 논산시 관촉동 관촉...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숙우, 호는 삼육재.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김국광(金國光)의 6세손으로 할아버지는 입부(立夫) 김성휘(金成輝)이다. 김정망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항상 손바닥에 ‘효우(孝友)’ 두 글자를 써 가지고 다니면서 한시도 잊지 않고 보곤 하였다. 어느 날 아버지가 병환이 나...
-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 김국광(金國光)의 7세손이자 입부(立夫) 김성휘(金成輝)의 증손이다. 아버지는 효자 김정망(金廷望), 부인은 의령남씨(宜寧南氏)이다. 김중창은 일찍이 성균생원이 되었으나 특별히 관직에는 뜻을 두지 않아 초야에 묻혀 학문에 열중하며 집안일을 보살피고 처리하는데 전념하였다. 효자인 아버지의 효행을 옆에서 직접...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가 대래, 호는 둔암(屯庵). 김필태는 향리에서 후학들을 교육하여 인재를 양성하였으며 부모에게 효성이 지극하여 돌아가신 뒤에도 성묘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이러한 사실을 안 도백의 추천으로 사헌부감찰과 영릉령을 지냈다. 1811년(순조 11) 문인인 황언진(黃彦鎭) 등의 편집을 거쳐 손자인 김광옥(金光鈺)에 의해 간행된 『둔암집...
-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의령(宜寧). 호는 경재(敬齋). 아버지는 남명한(南溟瀚)이다. 남두건은 조선 중기 학자로 효자였던 아버지 남명한과 함께 초야에서 학문을 함께하고 경서(經書)와 『사기(史記)』의 강론을 즐기고 낙으로 삼으며 일생을 보냈다. 또한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기로 고을에 명성이 자자하였고 그것을 행함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어 모든 사람들의 본보기가 되...
-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효자. 도처중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효행 사적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1645년 명정이 내려져 정려가 논산시 상월면 한천2리에 세워졌다. 정려 안 명정 현판에는 ‘효자사인도처중지문 숭정을유팔월일 명정려(孝子士人都處中之門崇禎乙酉 八月日命旌閭)’라고 쓰여 있다. 1979년의 정려중수기가 명정 현판과 함께 걸려 있다. 1697년(숙종 23)에 예조에서...
-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무안(務安). 성삼문(成三問)의 외손으로서 논산시 상월면 학당리로 낙향한 박증(朴增)의 5대손이다. 할아버지는 박종원, 아버지는 박훈이다. 박상문은 효자로 대대로 이어오는 가풍을 본받아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기로 소문이 자자하였다. 아버지가 병석에 눕자 마을 앞의 개울로 나가 조석으로 물고기를 잡아 봉양하여 이곳에 놓여 있는 다리가 조석교(...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양오(養吾). 아버지는 감역(監役) 박흔(朴訢)이고, 어머니는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박수진의 아버지 박흔은 1631년(인조 9) 호남에서 양천식(楊天植) 일당이 권대진(權大進)·조철(趙澈) 등과 함께 정한(鄭澣)을 추대하며 반역을 모의하다 사전에 발각된 소위 ‘정한추대사건(鄭澣推戴事件)’ 때 허위로 유포한 기록으로 최현(...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사심, 호는 죽계(竹溪). 아버지는 안신길(安信吉)이다. 안사묵은 석당 정귀석에게 배웠고, 고매한 학행으로 돈령부봉사로 천거되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오직 부모를 모시고 봉양하는 데 조금도 소홀함이 없이 효성을 다하여 섬기니 칭송이 자자하였다. 1860년(철종 11) 학행과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旌閭)가 내려지...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순흥(順興). 자는 성규, 호는 규정(規亭). 증조할아버지는 중추부사를 지낸 안여택(安汝宅)이다. 효행으로 정려(旌閭)를 받은 증조할아버지 안여택의 효행을 본받아 부모 섬기는 데 평생 변함이 없었다. 효행뿐만 아니라 성품이 온화하고 순박하여 동기 간에 우애가 깊었으며 이웃 간에도 화목하여 남의 모범이 되었다. 품행이 알려져 주민들과 유림의 추천...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파평(坡平). 팔송(八松) 윤황(尹煌)의 후손이다. 어려서부터 예절을 익히고 실천하여 어른들의 칭찬을 받았다. 장성하여 시골에서 농사를 지었는데 비록 집안이 가난하여도 부모를 효성으로 모심이 남달라 사람들의 칭송을 받았다. 아버지가 돌아가자 묘막을 짓고 3년간 시묘를 살았다. 묘소는 논산시 광석면 사월리에 있다. 효행이 조정에 알려져 효자 정려(...
-
근대 논산 출신의 효자. 이건두는 1882년 아버지 이상효와 어머니 순흥안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건두는 평생을 시골에 살면서 정성으로 부모님을 모셨으며, 부모님이 병들자 백방으로 약을 구해다가 고아드리고, 병이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깨물어 수혈을 해드렸다. 1916년에 부친이 죽자 장례를 예대로 정성껏 모시고 3년 동안 한 번도 상복을 벗지 않고 성묘를 다녔다. 1923년 어머니가...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세조의 후손인 덕원군의 후손이다.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에서 출생하였다. 이광근은 집안이 가난하여 부모님을 봉양하고자 머슴살이를 하였으며 좋은 음식이 생기면 자기가 먹지 않고 부모님께 먼저 갖다 드렸다. 어머니가 병환으로 자리에 눕자 온갖 좋다는 약을 다 썼으나 백약이 무효하여 병이 더욱 심해졌다. 병이 위중하자 대변의 맛을 보며 병...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춘담. 효령대군의 후손이다. 이기팔은 형제 5명과 우애가 남다르게 깊었으며 평생 부모님에게 효도하다가 부친이 병으로 위독해지자 혼신의 정성을 다하여 간병했으며 돌아가자 비통함이 극에 달해 실신할 정도였다. 장례 후에도 3년간 성묘를 정성껏 하여 인근에 효성이 자자하였다. 이기팔이 죽은 뒤 유림에서 그의 효성을 기리기 위해 기적...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순여. 효령대군 후손으로 형 이기팔과 함께 효행을 행하였다. 이기호는 유학의 예법을 몸소 실천하여 형제간의 우애가 깊었고 서로 도와가며 살았으며 부모님을 모시고 정성껏 봉양하였다. 부친이 병들자 온 힘을 다하여 간병하였다. 그러나 별로 효험이 없자 손가락을 베어서 수혈을 해드려 수일을 연명하게 했다. 어머니가 병이 들어 한 겨...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이선익은 어려서부터 예의가 바르고 부모님께 효도를 하여 주위 사람들로부터 칭찬이 자자했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정성껏 모셔 왔는데 어느 날 어머니가 병환이 나서 자리에 눕게 되었다. 병에 좋다는 약을 백방으로 구해다가 손수 달여 드리며 정성을 다하여 간호하였다. 어머니가 병석에 누워 있는 10여 년 동안 추운 겨울에는 물고기를 잡아다 봉양...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의 후손이다. 이언섭은 천성이 효성스러워 부모님을 봉양하는 데 남달랐다. 아버지가 병이 들어 위독할 때 손가락을 깨물어 수혈하고 양친이 병들어 요구하는 것을 백방으로 구해 드리니 병이 낫기도 하였다. 부모에게 효도하는 일이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포기하지 아니하고 실천하며 불우한 이웃을 보면 자기가 곤궁하여도 도와주니, 향리...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효자. 이정보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주위에 이름이 높았다. 어머니가 병환으로 몸져눕자 자신이 대신 병을 앓기를 기도하고 병세를 짐작하기 위해 어머니의 변을 맛보았다. 의식 없는 어머니를 위해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내어 수혈하는 등 지극 정성으로 효를 행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모친이 주무시고 있는 집에 불이 났는데, 이정보는 누워 있는 모친이 놀랄까 봐...
열녀
-
조선시대 논산 지역에 연고를 둔 절개 높은 여자를 일컫는 말. 열녀(烈女)는 위난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貞操)를 지켰거나, 또는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守節)한 부녀자를 일컫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열녀와 열부(烈婦)를 통칭한다. 열녀 중에는 또 ‘마당과부’라는 것도 있는데, 이는 조혼(早婚)이 예사였던 시절에 혼례만 치르고 미처 시가(媤家)로 가기 전에 신랑이 죽는...
-
일제강점기 논산 출신의 효자와 열녀. 강병흠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한겨울에 아버지가 잉어가 먹고 싶다고 하자저수지의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 드리기도 하였다. 아버지가 병으로 자리에 눕자 밤낮으로 약을 달이는 등 병간호를 게을리하지 않았는데, 어느 날 꿈속에서 돌아가신 할머니가 아버지 병에는 산삼이 좋다고 하며 산삼이 있는 곳을 알려 주었다. 다음날 강병흠이 할머니가 일러준...
-
조선 후기의 열녀.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강재윤(姜在潤)이다. 김두한의 처 진주강씨는 출가한 후 남편이 병으로 자리에 눕자 남편의 대소변을 맛보아 병세를 짐작하고, 자기의 넓적다리를 베어내고 손가락을 잘라 공양하며 지극정성으로 병수발을 들었다. 그러나 결국 남편이 죽자 1주일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았으며 죽으려고 물속에 뛰어들기도 하였지만 사람들에게 발견되어 자결하지 못하...
-
조선 전기 논산 지역의 열녀. 본관은 양천(陽川). 문경공(文敬公) 허공(許珙)의 현손녀이다. 아버지는 허웅이고, 남편은 김문(金問)으로 광산김씨(光山金氏)이다. 김문 처 양천허씨는 17세에 남편 김문과 사별한 후 개가하지 않고 당시 연산 지역에 있던 시집으로 들어와 유복자 김철산(金鐵山)을 낳고 장성시켜 현달하게 하였다. 그의 손자 김국광(金國光), 김겸광(金謙光), 후손 김계휘...
-
조선시대 논산 출신의 열녀이자 효부.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광보(光甫), 아버지는 박정현(朴定鉉)이다. 김민수 처 순천박씨는 생후 15일에 모친이 죽자 논산시 부적면 부황리 외숙모 댁에서 외숙모의 젖을 먹고 자랐다. 14세에 부황리 다오개에 거주하는 김민수에게 시집온 지 2년 후 시어머니가 죽고 이어 남편이 중환으로 눕자 백방으로 간병하였으나 백약이 무효였다. 밤이면 대신 죽...
-
조선 중기의 열녀. 본관은 연산(連山). 아버지는 임진왜란 때 군공(軍功)으로 원종공신에 녹권(錄券)되고 인조 때 병조참판에 증직된 서주(徐澍)이고, 어머니는 정부인에 증직된 광주이씨(廣州李氏)이다. 2남 5녀 중 6녀로 태어났다. 오빠는 석성현감으로 승정원좌승지에 증직된 서후적(徐後積)과 원종공신에 녹권되고 호조좌랑과 사복시정에 증직된 서효적(徐效積)이다. 언니는 판관 최정완(崔...
-
충청남도 논산 출신의 열녀. 김상훈의 처 대구서씨는 18세에 김상훈과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남편이 병으로 자리에 누웠다. 백방으로 약을 써 보았으나 소용이 없자 이듬해 결국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남편의 입에 흘려 넣어 주었으나 닷새 후 남편이 죽었다. 개가하지 않고 시부모를 잘 봉양하고 유복자를 키웠다. 1954년 논산시 연무읍 봉동1리 뒷산에 열녀비가 세워졌다....
-
조선 중기 논산 지역의 열녀. 조선 중기 명종 때 광산김씨 문중 사당에 원인 모를 화재가 났는데, 김인종 처 수원백씨는 조상의 신주를 꺼내 오기 위해 불길에 휩싸인 사당에 들어갔다가 나오지 못하였다. 그러자 김인종 처 수원백씨의 자부인 김두현 처 영성정씨가 사당으로 들어갔고, 이어 손부인 김세기 처 김해김씨가 들어갔으나 모두 나오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 조선 중기 명종 때 김인종...
-
조선 중기 논산 지역의 열녀. 본관은 순천(順天). 절재(節齋) 김종서(金宗瑞)의 7세손으로 아버지는 김수언이다. 김장생 처 순천김씨는 사계 김장생의 부인 창녕조씨(昌寧曺氏) 사후에 계배(繼配)로 들어가 6형제를 낳아 잘 양육하고 집안일과 남편 수발을 잘 돌보았다. 남편 김장생의 장례를 마친 후 자결하였다. 묘소는 충청남도 계룡시 금암리에 자리하고 있다. 1906년에 효열이 조정에...
-
조선시대 논산의 열녀. 김장택(金章澤)의 처 권씨는 병자호란때 강화도에서 순절한 안동권씨 권순장(權順長)[1607-1637]의 현손녀로 논산의 대표적인 세거 성씨인 광산김씨 집안으로 시집왔다. 시집와서 얼마 후에 남편 김장택이 죽었으나 굴하지 않고 시부모를 지성으로 봉양하고 돌보았다. 또한 유복자로 태어난 자식을 엄격하게 교육시켰으며 장성한 후에는 자신의 할 일이 모두 끝났다고 생...
-
조선시대 논산 지역의 열녀. 본관은 여흥(驪興). 아버지는 민원호이다. 남편 김장현과 사별한 후 양자로 김영표를 들였다. 민씨는 김장현에게 출가한 뒤 17세 되던 해 19세의 남편과 사별한 뒤 남편의 뒤를 따르려고 목을 매었으나 주위 사람들의 구출로 목숨을 건졌다. 양자 김영표를 들이고 시부모에게 효를 다하여 주위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71세를 일기로 생을 마쳤다. 평생을 수절하며...
-
조선시대 논산의 열녀. 본관은 연안. 아버지는 이조인(李祖仁)이고, 남편은 광산김씨 김장현이다. 김장현의 처 이씨는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고 남편에게 순종하였다. 남편이 객지에서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도 슬픈 기색을 보이지 않고 시부모에게 좋은 술과 안주를 올리며 위안하였다. 시집올 때 입고 온 녹의홍상으로 갈아입고 남편의 뒤를 따라 순절하여 후대까지 칭송이 이어졌다....
-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열녀. 본관은 전주. 익안대군의 7대손이며, 아버지는 이눌(李訥, 1552~1631)이며, 남편은 영사재에 제향된 박동민(朴東民, 1566~1593)이다. 슬하에 3형제를 두었다. 박동민의 처 전주이씨는 노모께 효도를 하고 남편에 대한 내조에 최선을 다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주이씨는 남편과 함께 노모를 모시고 아들 3형제와 피난을 떠났다....
-
조선 중기 논산 지역의 열녀. 본관은 안동(安東). 아버지는 권보이고, 남편은 박흔이다. 안동권씨는 남편 박흔이 정한(鄭澣) 추대사건에 연루되어 모반의 일당이라는 무고를 받고 자결하자 27세의 젊은 나이에 아들을 데리고 논산시 광석면 항월리로 내려와 모진 수모와 고난을 겪으며 평생을 수절하며 살았다. 아들 박수진을 도와 남편의 신원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여, 1675년(숙종 1)...
-
조선 후기 논산 출신의 열녀. 본관은 은진(恩津). 아버지는 송치덕이다. 은진송씨는 16세에 백상준에게 출가하였다. 남편이 갑자기 병이 들어 자리에 눕게 되자 남편의 병을 정성스럽게 보살폈다. 남편이 세상을 떠나자 장례를 마친 후 10여 일간 곡기를 끊어서 자결하였다. 묘소는 논산시 가야곡면 병암리에 있다. 1812년(순조 12) 열부 정려가 내려져 논산시 가야곡면 병암리 매오리마...
-
조선 말기 논산 지역의 열녀. 서영철의 처 온양방씨는 15세에 이천서씨(利川徐氏) 서영철(徐永哲)에게 출가하여 시부모를 지성으로 섬기고 남편에게 순종하며 화목하게 집안을 이끌었다. 그러던 중 32세 때 뜻밖에도 남편이 36세의 젊은 나이로 죽었다. 애절하게 통곡하며 남편의 뒤를 따르려 했으나 홀로 계신 시어머니의 봉양이며 어린 자식의 훈육을 누구에게 맡기랴 생각하고 빈한한 가정을...
-
조선 중기 논산 지역의 열녀. 본관은 공주(公州). 아버지는 이장백(李長白)이며, 남편은 미촌(美村) 윤선거(尹宣擧)로서 파평윤씨(坡平尹氏)이다. 윤선거 처 공주이씨는 윤선거에게 시집을 와서 서울에서 생활하다가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도로 피신을 하였다. 청군의 공격으로 강화도가 함락되고 포로로 잡힐 위험한 처지에 놓이게 되자 정절을 지키기 위하여 자결하였다.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
조선 중기 논산 출신의 효자와 열녀. 이공겸과 처 여흥민씨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현재의 논산시 가야곡면 양촌리에 살면서 시아버지를 지극히 모셨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군이 논산까지 이르게 되자 이공겸은 아버지를 등에 업고 피난길에 올랐는데 공주를 향하여 가다가 연산면 백석리에서 왜적과 마주치게 되었다. 이공겸의 아버지는 아들 내외를 살리려고 빨리 피신하기를 재촉하였으나 이...
-
조선 말기 논산 지역의 열녀. 본관은 전주(全州). 남편은 고성이씨(固城李氏) 이선일(李善一)이다. 이선일 처 전주이씨는 이선일에게 시집온 후 부모님을 지성으로 모시고 남편에게도 예의를 다하였으며 자녀교육에도 엄격하여 주변에서는 칭찬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어느 날 남편이 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슬픔을 이기지 못한 이씨는 남편의 상여를 떠나보낸 후 간수를 마시고 자결하였다. 1888년...
-
조선 후기 논산 지역의 열녀. 본관은 의령(宜寧). 남편은 전주이씨(全州李氏) 이인덕(李仁德)이며, 아들은 사헌부감찰을 지낸 이조순(李曺純)이다. 이인덕 처 의령남씨는 남편 이인덕이 중병에 걸려 자리에 눕자 지성으로 병간호를 하였으나 남편이 죽자 아들에게 남편의 유언을 전하고 자결하였다. 의령남씨의 아들 이조순이 사헌부감찰에 있을 때인 1863년 명정이 내려져 논산시 두마면 엄사리...
-
조선 중기 논산 지역의 열녀. 이홍묵의 처 전씨는 병자호란이 일어나 남편 이홍묵은 의병에 자원하게 되자 의복에 붉은 색실로 꾀매어 행장을 차려 주었다. 얼마 후 광주(廣州) 험천(險川)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참패했다는 비보를 듣고 부인은 집에서 기르던 개 한 마리를 데리고 격전장에 가서 남편의 시신을 찾다가 의복에 붉은 실로 꿰맨 흔적을 보고 남편임을 확인하고는 시신을 수습하여 마을...
-
조선 중기 논산 지역의 열녀. 장사정 처 말종에 대해『여지도서(輿地圖書)』니산현(尼山縣) 인물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말종은 사노비로 장사정에게 시집간 지 석 달도 안 되어 오랑캐의 난리를 당하였다. 이에 장사정이 본읍의 현감 김홍익을 배종하고 광주 전장으로 나갔다. 이때 장사정은 전장에서 김홍익이 전사하자 그의 시체를 지키다가 적의 화살에 맞아 죽었다. 결국 말종은 전사...
-
조선 중기 논산 지역의 열녀. 진진 처 담양국씨는 천성이 효성스러워 부모를 극진히 섬겨 어려서부터 칭송이 자자하였으며 16세에 진진(陳璡)에게 출가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군이 마을에 당도하자 마을 사람들은 앞산에 나가 농기구를 가지고 대항하다가 상황이 여의치 않아 모두 피난을 떠나게 되자 남편과 함께 피난길에 올랐다. 왜적이 점점 가까워 오자 남편에게 꼭 살아서 부모님과 어린...
-
조선 말기 논산 지역의 열녀. 본관은 기계(杞溪). 시남(市南) 유계(兪棨)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유치백이며, 남편은 홍순성(洪淳成)으로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홍순성 처 기계유씨는 19세에 시집온 지 열 달도 채 되기 전에 남편이 병사하자 장례를 마치고 간장 한 사발을 마시고 자결하였다. 묘소는 논산시 광석면 항월리에 있다. 1891년(고종 27) 조정에서 명정(銘旌)이 내려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