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600393 |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식물(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찬수 |
지역 내 자생|재배지 | 개부싯깃고사리 자생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산방산] |
---|---|
성격 | 식물 |
학명 | Cheilanthes chusana Hook. |
생물학적 분류 |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봉의꼬리과 |
원산지 | 한국, 인도차이나, 일본, 중국 |
길이 | 17~30㎝ |
너비 | 18~30㎜ |
국내에서는 주로 제주도에만 분포하고 있는 희귀 양치식물.
우리나라에는 양치식물이 258분류군 정도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관속식물 3,340분류군의 7.7%에 해당한다. 그런데 제주도에는 양치식물이 172 분류군 정도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제주도 전체 관속 식물 1,990 분류군의 8.6%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전국의 양치식물 중 66.7%가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이와 같이 양치식물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은 제주도가 양치식물이 생존하기에 적당한 온난 다습한 기후조건과 다양한 서식지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상록성의 초본으로 뿌리는 짧고 비스듬히 서며 마른 잎과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다. 잎은 모여 나고 잎자루의 길이는 1.5~10㎝이고 흑갈색이며, 표면에 두 줄이 있고 비늘조각이 드문드문 달린다. 잎새는 작은 것은 긴 타원형 달걀모양이며, 큰 것은 넓은 선형(線形)이고 길이 7~30㎝, 너비 2~3㎝로서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깃 조각은 자루가 없고 7~15 쌍이며, 삼각형의 달걀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털이 없다. 포자낭(胞子囊)들은 가장자리와 잔맥(殘脈) 끝에 달리며 2~3개가 합쳐지기도 하며 적갈색이다.
세계적으로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대만·인도차이나·일본·중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상남도에도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제주도 내에서는 서귀포시의 안덕면 사계리[산방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외 저지대의 해안 오름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매우 희소한 식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