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600407 |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식물(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찬수 |
지역 내 자생|재배지 | 새깃아재비 자생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영천동
![]() |
---|---|
지역 내 자생|재배지 | 새깃아재비 자생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
![]() |
성격 | 식물 |
학명 | Woodwardia japonica (L. f.) Sm. |
생물학적 분류 | 양치식물문〉고사리강〉고사리목〉새깃아재비과 |
원산지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미얀마, 인도네시아 |
높이 | 30~80㎝ |
포자기 | 7~9월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의 습하고 그늘진 숲에서 자라는 희귀 양치식물.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중국·대만·미얀마·인도네시아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에서는 제주도와 전라남도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상가치가 높아서 자생지에서 무단채집 하는 경우가 많다.
새깃아재비는 제주도의 남쪽 숲속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초로서 굵은 뿌리는 잎자루 기부와 더불어 갈색 비늘조각으로 덮여 있고 옆으로 약간 누우며 끝에서 잎이 모아난다. 잎자루는 굵고 딱딱하며 길이 30~50㎝이고 잎새는 계란형에 가까운 긴타원형이며 길이 40~80㎝, 너비 20~35㎝로서 윗부분이 갑자기 뾰족해진다. 포자낭(胞子囊)들은 길이 2~5㎜로서 주맥(主脈) 가까이에 달리며 곧다. 포자낭이 달리지 않은 잎은 개면마[양치식물 고사리목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와 비슷하지만 갈라진 잎 주맥(主脈) 옆의 엽맥(葉脈)이 1~3줄의 그물눈을 형성하는 것이 다르다.
제주도의 저지대 해발 270~350m에 위치한 상록활엽수림의 계곡 경사진 곳이나 삼나무 조림지 등에서 자라며, 분포하는 개체수가 매우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