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600411 |
---|---|
한자 | -蘭草 |
이칭/별칭 | 구슬난초,혹뿌리난초 |
분야 | 지리/동식물 |
유형 | 식물/식물(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찬수 |
지역 내 자생|재배지 | 씨눈난초 자생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
![]() |
---|---|
성격 | 식물 |
학명 | Herminium lanceum (Thunb. ex Sw.) Vuijk |
생물학적 분류 | 피자식물문〉단자엽식물강〉난초목〉난초과 |
원산지 | 한국, 일본, 중국, 대만 |
높이 | 25~55㎝ |
개화기 | 6~8월 |
결실기 | 10~11월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 일부에 드물게 자라는 희귀 난초.
씨눈난초는 구슬난초 또는 혹뿌리난초라고도 하며,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중국·대만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해살이풀로 땅에서 자라는 지생란(地生蘭)이다. 땅속에 덩이줄기가 있으며, 뿌리는 수염뿌리이다. 줄기는 곧고 밑 부분은 잎싸개로 싸여있다.
산지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가 25~55㎝이다. 잎은 선형(線形) 내지 넓은 선형(線形)이고 길이 8~20㎝, 너비 5~10㎜로서 끝이 뾰족하다. 꽃은 6~8월에 피며 연한녹색이고 수상화서(穗狀花序)는 길이 5~15㎝로서 꽃이 많이 달린다. 포는 계란형태에 가까은 삼각형으로서 하나의 맥이 있고 꽃보다 길거나 짧다. 꽃받침잎은 넓은 타원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2.5㎜로서 퍼지지 않으며 하나의 맥이 있다. 꽃잎은 좁은 피침형(披針形)이고 꽃받침잎보다 다소 짧으며 뾰족하고 측열편(側裂片)은 선형(線形)으로서 길며 중앙열편(裂片)은 극히 짧다. 순판(脣瓣)은 밑으로 처지고 길이 5~8㎜로서 중앙까지 3개로 깊게 갈라지며 거가 없다.
씨눈난초는 제주도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매우 드물게 분포한다. 분포지역이 협소하고 개체수가 적다. 서귀포에서는 남원읍 신례리 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