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600779 |
---|---|
한자 | 集姓村 |
이칭/별칭 | 동성촌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집필자 | 오상학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지역에서 동성동본의 사람들로 형성된 마을.
집성촌은 성(姓)과 본관(本貫)이 같은 부계의 혈족들이 한 마을에 대대로 거주하면서 마을의 인적 구성뿐만 아니라 운영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동족 마을이다. 이를 ‘동성촌(同姓村)’이라고도 한다. 마을을 주도하는 성씨가 상대적으로 결속하면서 토성과 세거 성씨가 중심이 된 동족 마을이 발달하게 되었다. 집성촌의 구성원들은 동조(同祖) 의식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족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직도 갖추고 있다.
특정 성씨만으로 주민이 구성된 마을을 동성촌 또는 동족 취락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이상형일 뿐, 실재하지 않은 까닭에 특정 성씨가 우세한 마을까지 이 범주에 포함하게 된다. 동성촌의 출현은 근대사회의 정신세계를 지배해온 유교사상과 별개일 수 없다. 동성촌에서 행하는 혈족 의식이나 선묘(先墓) 수호, 제사를 받드는 일이 모두 유교 문화에서 기원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사회적 측면에서 선조의 후광을 업고 세도를 부릴 수 있으며, 경제적 측면에서 문중 자산의 공동 관리와 함께 협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서귀포시 동족 취락의 경우 이런 요인 말고 정치적 불안기에 한반도로 이입한 적객(謫客), 은둔자가 장기 거주하면서 조성된 것이다. 젠세이[善生]가 『조선의 취락』에서 개괄적으로 기술한 자료에 의하면 “특정 성씨가 100세대 이상 되는 마을을 지표로 삼았을 때 제주특별자치도 내에서는 한림 쪽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서귀포 쪽”이라고 쓰고 있다. 서귀포 일대에는 경주 김씨·청주 한씨·군위 오씨·제주 양씨·양천 허씨·신천 강씨·연주 현씨를 구체적 성씨로서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