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600782 |
---|---|
한자 | 安東權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강만익 |
본관 |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 |
---|---|
세거|집성지 | 안동권씨 집성지 - 제주도 서귀포시 하효동 |
성씨 시조 | 권행(權幸) |
입향 시조 | 권의(權誼) |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고 권의(權誼)를 입도조(入島祖)로 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세거하고 있는 성씨.
안동권씨는 전국적으로 검교공파[권척]·광석공파[권대]·군기감공파[권사발]·동정공파[권체달]·별장공파[권영정]·복야공파[권수홍]·부정공파[권통의]·부호장공파[권시중]·수중공파[종파:권수중]·시중공파[권인가]·좌윤공파[권지정]·중윤공파[권숙원]·호장추공파[권추]·추밀공파[권수평]·급사중공파[권형윤]로 구성되며, 벌족을 이루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안동권씨는 고려에서 시조인 권행에게 안동부(安東府)를 식읍으로 내렸기 때문에 후손들이 안동을 본관으로 하게 되었다고 한다.
안동권씨 시조 권행(權幸)은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본래의 성은 김씨이다. 김행은 930년 고을 성주 김선평·장정필과 의논해 향병을 모은 다음 태조 왕건을 도와 고창군 병산[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에서 견훤의 대병을 물리쳤다. 김행의 공을 가상히 여긴 고려 태조가 크게 기뻐하며 "정세를 밝게 판단하고 권도를 잘 취했다[能炳機達權]"라며 권씨 성을 하사하자 이름을 권행으로 고쳤다.
제주도의 입도조는 복야공파(權守洪)의 후손인 권의(權誼)이다. 권의는 임진왜란을 피하여 제주도에 들어왔다고 전해진다. 권의에게는 아들 2명이 있었는데, 큰아들은 제주시파, 둘째 아들은 서귀포파를 이루었다. 권의의 증손인 권탁(權鐸)에게도 두 아들이 있었는데, 큰아들인 권세준(權世俊)은 서귀포시 법환리계를 이루었고, 둘째인 권세귀(權世貴)는 서귀포시 하효계를 이룬다. 서귀포시 지역 안동 권씨의 절대 다수는 하효동에 거주하여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해마다 4월 5일 청명일에 모듬벌초를 한다.
안동권씨는 2000년 현재 남한에 총 196,566가구에 629,291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주도에도 조천읍·구좌읍·표선면 등 동부 지역에 산재하고 있으며, 대부분 서귀포시 하효마을에 집중되고 있다. 제주도 전체적으로 2000년 11월 현재 545가구에 1,76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서귀포시 지역에는 196가구에 619명이 거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