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601525 |
---|---|
한자 | -西歸浦文化-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강창룡 |
간행 시기/일시 | 1997년 12월 28일![]() |
---|---|
간행처 | 『서귀포문화』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동홍동 453-1번지
![]() |
성격 | 기관지 |
저자 | 서귀포문화원 |
표제 | 『서귀포문화』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서귀포문화원에서 1997년부터 2007년까지 매년 발간한 기관지.
『서귀포문화』는 서귀포문화원에서 1997년 창간호부터 2007년 제11호까지 매년 발간한 기관지이다. 곧 『서귀포문화』는 서귀포시의 향토문화 계승과 보존을 위한 향토사의 연구와 다양한 지역주민의 문화욕구 충족을 위한 서귀포문화원의 기관지이다.
1997년에 창간한 『서귀포문화』의 목차로는 문화논단, 향토문화의 뿌리, 초대작가 지상전, 문화의 향기, 향토유적지 순례, 탐라의 소리 그 노래, 기고, 문화원 소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007년 제11호의 목차로는 특별초대석[향토사 조사·연구·발굴], 서귀포문화원에 바란다, 특별기고, 문화논단, 지상향토세미나[최영장군의 역사성과 활용방안], 예술단체의 결산, 문화기행, 문화체험, 현장취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창간호에서는 「제주는 이질 역사 문화권」, 「서귀포시의 옛 자취와 현재, 그 미래」, 「잊어버린 서귀진성」, 2호에서는 「제주마을의 고고학적 연구」, 「고려시대 탐라의 지방편제 시기와 그 단위의 형태」, 「서귀포시 서부지역 호적중초의 기초적 연구」, 「천주교의 서귀포 전래에 대한 고찰」, 3호에서는 「제주지역 신석기문화연구(Ⅰ)」, 「고려시대 탐라민의 생업활동과 신앙」, 「서귀포 서부지역 구중문·대포리 호적중초의 기초적 연구」, 「제주교안 이후(1901~1910) 제주지역 천주교회의 동향」, 4호에서는 「제주법화사지의 고고학적 연구」, 「서귀포시 생업과 민속」,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활용」, 「제주 ‘목호의 난’ 역사적 성격에 대한 논의와 범섬의 의미」, 5호에서는 「일본군 진지동굴 및 진지 심포지움 자료」와 「21세기 서귀포 문화유적의 보존과 활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 6호에서는 「탐라시대 예래마을의 위치와 성격」, 「법정사 항일 운동의 역사성과 항쟁지의 활용방안」, 「영천관터의 역사성과 그 활용방안의 모색」, 7호에서는 「문헌에 나타난 노인성」, 「민속학적으로 보는 노인성」, 「고려 후기 제주법화사의 중창과 그 위상」, 9호에서는 「법환마을의 문화 활성화 방안」, 「『탐라십경도』와 서귀포시의 관련 사적과 그림」, 10호에서는 「제주도유형문화재의 보존실태와 문화자원화」, 「당캐연대와 문화재」, 「최영장군은 왜 탐라를 정벌했나」, 「최영장군 관련 서귀포시의 지명」, 10호에서는 「예래마을의 환경과 문화」, 「예래·영천마을 선사유적 고찰」 등의 내용을 특집과 향토세미나 자료로 수록되어 있다.
『서귀포문화』는 서귀포문화원에서 서귀포시가 2006년 7월 1일에 남제주군과 서귀포시를 통합하기 전에 창간호부터 제11호까지 발간한 기관지였다. 이 『서귀포문화』는 서귀포시의 문화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기관지로서 가치가 크다.
또한, 2006년 7월에 남제주군과 서귀포시를 통합한 후 2008년에 제12호[통권1호]로부터 2010년에 발간한 제14호[통권3호]까지 『서귀포문화』가 발행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