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칠성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636
한자 七星祭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강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속 의례
의례 시기/일시 1년에 한 번 또는 몇 년에 한 번|정월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서 행해지던 수명 장수(長壽) 및 가내의 부(富)와 행운을 기원하는 무속 의례.

[개설]

칠성제는 북두칠원성군(北斗七元星君)을 모시는 집안의 북두칠원성군제와 집안에 부를 가져다 주는 뱀신 안칠성, 밧칠성을 모시는 집안의 철갈이로 나눈다. 인간에게 장수와 복을 가져다 준다는 북두칠원성군을 모시는 칠성제는 북두칠성신으로부터 수복을 받고 태어났다고 믿는 집안에서 1년 또는 몇 년에 한 번씩 제를 지내야 장수하고 부귀하게 된다고 믿는다.

한편 집안에서 모시는 칠성제는 가내의 풍농과 고팡 안의 곡식을 잘 지켜 부를 이루게 해 달라는 계절제이다. 칠성신은 뱀신이면서 여신으로 안칠성을 ‘안할망’ 또는 ‘고팡할망’이라 하고, 밧칠성을 ‘뒷할망’이라 한다.

[절차]

북두칠원성군을 모시는 칠성제는 특히 밤에 행한다. 굿은 초감제를 하여 칠원성군을 청하여 모시고, 소지(燒紙)를 올려 장수와 복을 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집안에서 모시는 칠성제는 유교식과 무속식으로 치러진다. 유교식은 명절이나 제사 때 주부가 메와 채소 등을 차린 제물을 안칠성의 거처인 고팡의 쌀독 뚜껑 위에 차려 놓고, 메에 수저를 꽂음으로써 행해진다.

한편 굿으로 치러지는 경우는 집안에서 하는 모든 굿에서 축원하는 ‘칠성본풀이’와 계절제인 ‘철갈이’ 두 종류로 나눈다. 가신 신앙은 철갈이로, 정월이나 가을에 한 번 심방을 청해 다가 축원을 하여 모신다. 제장인 고팡에 메 일곱 그릇과 찬물, 폐백을 제물로 차려 모신다. 개고기나 말고기는 금하며, 출입로에 금줄을 쳐서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막는다. 이때 문전과 조왕 등 가내의 다른 신에게 먼저 축원을 하고 ‘칠성눌’로 간다.

칠성눌이란 집 뒤에 철성신을 모시고 있는 곳인데, 대개 기왓장에 오곡을 넣고 그 위에 다시 기왓장을 덮어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주저리를 덮어 놓을 것을 말한다. 예전에는 심방을 불러 의례를 행했었는데, 최근에는 주부가 이 일을 맡아 행하고 있다. 한편 철갈이는 문전제와 함께 모시기 때문에 ‘문전 철갈이’ 또는 ‘벨롱갱이’라고도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서귀포 지역의 주거 환경의 변화로 안칠성의 거처인 고팡이 따로 없기 때문에 부엌에 놓여 있는 쌀통 위에 제물을 올려놓고 제를 지내는 경우가 있다. 요즘에는 사찰의 칠성단에서 지내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