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678
이칭/별칭 족은굿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강정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속의례
의례 시기/일시 수시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지역에서 당클을 두루 갖추지 않고 벌이는 규모가 작은 굿.

[개설]

작은굿은 규모가 작은 굿이라는 뜻으로 굿을 할 때 마루의 벽면에 가로로 길게 설치하는 신의 좌정처인 당클을 두루 갖추지 않고 비교적 소규모로 벌이는 굿을 통칭한다. 흔히 ‘족은굿’이라고 한다. 작은굿은 규모는 작지만 요령·신칼 등의 무구(巫具)와 북·설쇠 등의 연물을 두루 갖추어 벌인다. 따라서 작은굿도 악기를 연주하거나 굿의 진행을 돕는 보조 무당인 소미를 여럿 대동하고 절차를 갖추어 벌이는 굿이다. 좁은 의미의 작은굿은 당클 없이 탁상만 두고 벌이는 이른바 탁상굿만을 이른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는 당클이 하나인 연당클굿, 둘인 곱은당클굿뿐만 아니라 심지어 당클이 셋인 중당클굿도 작은굿의 범주에 둔다. 중당클굿은 대개 시왕당클이 제외되고 이에 따라 큰대도 세우지 않게 되는데, 이로 인해 큰굿에 비하여 규모가 현격하게 축소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4당클굿만을 큰굿이라고 할 수 있게 된다.

[신당/신체의 형태]

탁상과 소수의 당클을 중심으로 의례를 행한다.

[절차]

작은굿은 사정에 따라 제차의 짜임이 크게 다를 수 있다. 초감제·상게·추물공연·석살림 따위를 하고, 이어 본풀이와 맞이굿을 중심으로 진행한 뒤에, 각도비념·선앙풀이·도진 따위로 마감하는 것이 보통이다.

[현황]

요즘은 일월맞이굿·불도맞이굿 등의 규모를 축소하여 작은굿으로 벌이는 사례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