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3023
한자 邑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임승희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있는, 조선 시대 지방 군현의 관아를 중심으로 외곽을 둘러쌓은 성.

[개설]

읍(邑)이란 본래 성으로 둘러싸인 백성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의미하나, 일반 백성들의 거주지까지 모든 성을 쌓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읍치(邑治)인 지방관의 소재지를 중심으로 주로 성곽을 쌓아올렸고, 성곽 내부에는 지방민을 다스리는 데 필요한 관아 시설 및 관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거처가 일부 형성되어 있었다.

이처럼 행정적인 목적으로 축조된 읍성은 당시 지방관의 거처인 동시에 군사적인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었다. 제주 지역 읍성의 경우에도 유사시 적의 침입으로부터 읍성을 보호해야 했기 때문에 성곽의 입지 조건으로 자연적 지형을 매우 중요하게 고려했던 것으로 보인다.

[건립 경위]

조선 시대 제주의 3읍성은 제주목·정의현·대정현으로 분리되면서 축조, 개축되었다. 이 3읍성은 왜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군사적·행정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당시 정치·행정·문화·군사의 중심지에 설치되었다.

제주읍성의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지만, 1105년(고려 숙종 10) 지금의 제주시 제주목 관아 주변에 탐라군이 설치되면서 축조되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정·정의읍성의 축조 시기는 『조선왕조실록』 태종 16년 5월 정유조 기사에 잘 나타나 있다. 당시 조정에서는 제주도 안무사 오식(吳湜)과 전 판관이었던 장합(張合) 등이 올린 사의(事宜)를 받아들여 1416년(태종 16) 7월에 대정·정의 2개 현을 신설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제주 지역은 1목 2현의 3읍 행정 체제를 이어나갔는데 바로 이 때 새로 신설된 2개 현에는 읍성을 축조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후 성산읍 고성리에 축조된 정의읍성은 1423년(세종 5)에 현 위치인 표선면 성읍리로 옮겨지게 되었다.

1. 정의현성

정의현성대정현성과 더불어 1416년(태종 16) 제주도 안무사 오식의 건의로 3읍이 정립될 때 지금의 성산읍 고성리에 현성이 축조되었다.

그러나 당시 정의현의 초대 현감이었던 이이(李貽)가 정의읍성이 위치한 고성리가 현의 동쪽에 치우쳐 있어 현을 다스리는 데 불편이 많다고 보고하자, 지금의 표선면 성읍 1리 일대로 옮겨 축성하였다.

제주 3읍의 백성을 총동원하고 제주 판관이었던 최치렴의 감독하에 1423년(세종 5) 정월 9일에 착공, 13일 만에 완공되었다. 성의 둘레는 2,520척, 높이 13척이었으며 동서남문 외에 여첩이 180여 개 존재하였다.

성내에 세워졌던 관아로는 객사 동헌, 일관헌, 관청, 향소청, 무학청, 진무청 등을 갖추었고 이원진『탐라지』[1653년] 기록에 따르면, 정의현에 소속된 병력은 파총 1명, 성장 2명, 초관 7명, 마병 260명, 성정군 591명, 속오군 390명, 봉연군 60명, 봉족군 60명을 이루어져 있었다. 현재 성곽 일부와 남문, 서문, 동문이 복원되어 있는 상태이다.

2. 대정현성

대정현성은 동성리[현재 대정읍 안성리·인성리]와 서성리[현재 대정읍 보성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1418년(태종 18) 대정 현감 유신이 재직할 때 제주도 안무사 이간의 지휘 아래 약 1개월 만에 축성하였다. 이 성은 둘레가 4,890척, 높이 17척 4촌, 여첩은 약 155개소에 달하였다. 동서남북 4개 대문이 있었으나 이후 북문은 폐쇄되었다.

성내에 세워졌던 관아로는 동헌인 영안관, 윤경당, 청풍당, 향사당, 관청, 작리청 등 과 그 부속 건물이 있었다.

이러한 대정현성은 1915년 군제가 폐지되고 도제가 시행되기 이전까지 대정현의 행정 중심이었으나, 제주 4·3 사건을 거치면서 훼손되었다. 현재 성내에는 추사 유배지를 비롯하여 돌하르방 12기, 제주 전통 옹기를 재현하는 가마터 등이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제주시의 1읍성과 서귀포시에 남아 있는 2읍성은 9개 진성과 더불어 행정적·군사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주를 꿋꿋하게 지켜낸 관방 시설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제주 천혜의 자연환경과 지리적 특성을 조화롭게 살려 축조되었기 때문에 독특한 조형미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