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02011
한자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卷七-十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직동 148-1[직동길 271-56]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유봉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5년 1월 7일연표보기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6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불교 의식집
저자 제대법사
간행연도/일시 1529년연표보기
권수 4권|7~10권
책수 1책
사용활자 목판본
가로 18.5㎝
세로 33.8㎝
간행처 사찰본
소장처 석종사
소장처 주소 충청북도 충주시 직동 148-1[직동길 271-56]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1529년(중종 8)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 불교 의식집.

[개설]

미륵여래의 몽감(夢感)에 따라 죽은 자의 영혼을 자비도량으로 천도(薦道)하는 데 쓰인 불교 의식집이다. 2005년 1월 7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6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편찬/발간경위]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은 중국 양(梁)나라 무제(武帝) 때 고승법사들이 찬술한 것을 우리나라에서 판각, 인쇄한 책으로 고려시대 판각한 책판이 조선 초기까지 보존되었다가 필요에 의해서 인출(印出)한 불서이다.

[서지적 상황]

『자비도량참법』은 양나라 무제 때 고승들이 찬수한 것으로 전해지는데,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은 상교심정한 10권짜리 정본을 바탕으로 하여 1370년 판각인출한 것을 그 후 조선시대 중간한 것으로 보인다. 본래 권자본(卷子本) 형식으로 판각한 것을 선장본(線裝本)으로 장책(粧冊)한 것이다. 이는 보물 제875호로 지정된 고려 1352년(공민왕 1)에 간행한 판본과 판식과 체제가 같아 간행연도는 14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권미묵서식기(卷尾墨書識記)에 의하여 14세기 중엽에 판각한 책판으로 성종 연간에 후쇄(後刷)한 책임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간행된 것으로는 전라남도 여수에 국왕문서로서 교령류가 있으며, 사찰본으로서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에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 간행된 것은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의 보림사와 서울 강남구에 소재하고 있는 한솔종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현재 표지는 없으며 광곽은 위아래 단변으로 행의 계선이 없는 무계(無界)이며 5행에 13자이다. 판심(板心) 표시가 있으며, 매 2절지(折紙) 행간(行間)에 참칠(懺七) 팔, 구, 십(八, 九, 十) 및 판차(板次) 표시가 있다. 장정법은 선장본(線裝本)이며, 지질은 한지이다.

[구성/내용]

표지가 없는 상태에 권미(卷尾)에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제십(祥校正本慈悲道場懺法 第十)’으로 되어 있어 책명을 알 수 있다. 지금은 권7부터 권10까지 4권 1책만 전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불교 의식집으로서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서지학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서 평가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