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여성 노작요의 중심 최종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9E020402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마수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상기

최종남[1957~] 씨는 현재 남편 박경석 씨와 함께 논농사도 짓고 젖소도 키운다. 젊은 시절에는 논농사를 80마지기씩이나 지었다고 하니 대단한 여성이다. 요즘도 젖소를 키우느라 아침과 저녁에는 시간을 내기가 어렵다고 한다. 그래도 저녁 6시에 시간을 내서 1시간가량 마을회관에서 인터뷰를 할 수 있었다. 이 자리에는 이종순[1931~ ] 씨가 함께 하면서 마수리 농요에 대한 옛 기억을 상기시켜 주었다.

먼저 지남기 선생에 대한 이야기를 꺼냈다. 그러자 이종순 씨가 “뭐든지 잘 했다. 아주 날렸다. 한 마디로 신기(神氣)가 있었다” 고 말하였다. 옛날에는 마수리 풍물패들이 목계에 가서 송아지도 타 오고 경연대회에도 나가 상도 많이 타왔다고 한다. 이종순 씨는 1950년 6·25사변 나던 해 이곳 마제에 사는 안문준 씨에게로 시집을 와 지금까지 살고 있다. 1973년 여성 노작요가 생기면서 디딜방아질을 주로 했다고 한다. 이제는 늙어 힘이 부쳐 방아질은 못하고 키질이나 비질 역할로 참여한다.

이야기가 조금씩 진지해지고 분위기가 무르익자 최종남 씨가 말문을 연다. 최종남 씨가 이곳 마수리로 시집을 온 것은 1975년이다. 고향은 가까운 음성읍 읍내리인데 중매로 박경석 씨와 연을 맺게 되었다고 한다. 시집 와서 처음은 자식들 키우느라고 마수리 농요에 참여할 수 없었다. 1979년 막내아들을 낳고 조금 여유가 생겨 마수리 농요 여성 노작요 대원으로 참여하게 된다.

그렇게 한 6~7년 하다가 선소리를 하던 이숙영 씨가 서울로 이사를 가게 되었고, 당시 부녀회장을 맡고 있던 최종남 씨가 선소리꾼으로 발탁되었다. 그런데 그 사설을 몇 년 동안 듣고 배워서 그런지 노래를 배우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고 한다. 최종남 씨의 목소리가 크고 판소리에 어울리는 성음을 가지고 있어서 선소리꾼으로는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지남기 선생이 환갑이 되어서인지 예전만큼 무섭게 가르치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최종남 씨가 처음 나간 대회가 1986년 9월 아시안 게임 경축을 위해 호암 아트홀에서 이루어진 공연이었다. 다른 사람들은 처음 큰 공연에 나가면 앞이 캄캄하다고 하는데 최종남 씨는 그런 걸 전혀 느끼지 않았다고 한다. 한 마디로 담이 크기 때문인 것 같다. 인터뷰를 하는 동안에도 섬세하다기보다는 남성적이고 씩씩한 모습을 느낄 수 있었다.

이후 한 3~4년 동안은 그렇게 큰 행사가 없었고 가까운 곳에서 하는 민속행사 정도에 출연하곤 했다고 한다. 1990년대 들어와 마수리 농요를 무형문화재로 보존하자는 논의가 생겨나면서 마수리 농요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고 한다. 그래서 농요와 노작요 그리고 농악에 대한 관심이 다시 생겨났고 마수리 농요는 충주에서 열리는 우륵문화제와 중원문화제 등에 단골 출연하게 되었다. 1994년 마수리 농요전수관이 생기는 즐거운 일이 있었다. 그래서 이때부터 전수관에 모여 방아타령에 대한 공부를 하기도 하고 연습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 해 12월 30일에는 마수리 농요가 충청북도 무형문화재가 되어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다.

당시 방아타령에 대해 지남기 선생이 어떻게 지도했느냐고 물어보자 최종남 씨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긴 방아는 좀 느리니까 느리게 청승떨면서 구성지게 하라고 했지요. 긴 방아는 부모 공양하면서 시집살이하는 내용이고, 자진 방아는 시집살이를 했으니 놀아보자는 내용이거든. 그래서 자진 방아는 흥이 나서 빨리빨리 부르도록 했지요. 그리고 긴 방아에 옛날 시집살이가 얼마나 심했으면 ‘시아버지 죽어 좋아한다’는 대목이 있겠어요. 또 ‘고추 당초 맵다지만 우리네 살림만 못하리라’라는 구절이 있겠어요” 라 하였다.

고추 당초 구절은 지금도 긴 방아로 불리고 있지만, 시아버지 죽는 이야기는 요즘 사설에는 없어졌다고 한다. 아마 지남기 선생이 지도할 때는 그렇게도 불렸던 것 같다. 1995년 지남기 선생이 중풍으로 쓰러진 후에는 더 이상 지도할 사람도 없고 추가할 내용도 없어 지금의 형태로 농요와 노작요가 고정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풍부한 음악적 자산이 사라진 것 같아 아쉽기만 하다고 한다.

최종남 씨는 2001년 마수리 농요 여성 노작요 기능전수자가 된다. 이때부터 방아타령은 중거리 방아가 생략되고 긴 방아와 자진 방아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현재 방아타령을 부르는 데 별 어려움은 없다고 최종남 씨는 말한다. 그렇지만 사실 음악적인 면에서는 부족함을 느낀다는 것이다. 국악을 좀 더 공부하면 방아타령을 좀 더 잘 할 수 있을 테고 음악과 사설에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마수리 농요를 한 이래로 언제 가장 보람을 느꼈는지 물어 보았다. 이에 대해 최종남 씨는 관객들이 많이 와서 호응을 할 때라고 말한다. 마수리 농요에서는 논매기 노래를 하는 대목에서 새참이 나온다. 정확히 말하면 아이매기와 이듬매기의 사이에 농악대가 새참을 가지고 오는 부녀자들과 함께 들어와 한판 놀면서 새참을 먹는데, 이때 관객들도 함께 새참을 먹을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화합의 한마당 장면에서도 관객들이 함께 춤을 추며 놀 수 있다. 이럴 때 대원과 관객이 한데 어우러져 논다고 한다.

한판 놀이가 끝나고 나올 때, 함께 했던 관객들이 다가와 “어째 그렇게 잘 하느냐, 어쩜 그리 목소리가 좋으냐?”하고 말할 때 정말 보람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또 주머니에서 만원이고 2만원이고 쌈지돈을 꺼내 주려고 하는데 그럴 때도 역시 정을 느낀다고 한다. 우리의 옛 정취와 풍류를 아쉬워하는 세대들은 아직도 농요와 농악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 최종남 씨는 마수리 농요 여성 노작요 부문 기능전수자로 변준수 씨와 함께 방아타령을 이끌고 있다. 대개는 최종남 씨가 선소리를 하고 변준수 씨가 북장단을 친다. 그리고 좀 더 큰 소리를 내야 하거나 규모가 조금 커질 때는 변준수 씨와 이중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제 여성 노작요는 이들 두 50대 초반의 여성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

그러나 받음 소리(후렴)를 하는 사람들의 역할도 대단히 중요하다. 이들은 소리 외에 절구질과 방아질, 키질과 비질 등 연기를 펼쳐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젊은 층은 사람이 없어 문제이기도 하지만, 노작요에 참여하는 몇 안 되는 사람들조차도 키질과 훌치기 같은 것을 해보지 않아 연기가 어색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전통을 지키려는 농촌 마을에서 공통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무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마수리 역시 전승되어 오고 있는 농요와 농악의 보존을 위해 젊은 후계자를 키우는 어려운 문제를 안고 있다.

[정보제공]

  • •  최종남(여, 51세, 여성 노작요 기능전수자)
  • •  이종순(여, 77세, 마수리 주민)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