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산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1792
이칭/별칭 삼태,삼태기,돌체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물품·도구/물품·도구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집필자 고광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도구|농기구
재질 나무·넝쿨
용도 물건을 나르는 데 사용

[정의]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물건을 나르는 도구.

[연원 및 변천]

산태는 삼태, 삼태기 등으로도 불리며, 달리 ‘돌체’라고 한다. 이전에는 농작물 운반 시에도 사람이 들거나, 메거나 지고 나르는 등 동력의 근원을 인력에 두었다. 이원진『탐라지』에 “등에 나무통을 지고 다니며, 머리에 이는 사람이 없다,”는 기록처럼 운반할 때 지고 옮겼던 것이 일반적인 형태였으므로 산태는 아주 오래전부터 서귀포 지역에서 사용되어 왔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요즘은 콘테이너가 나오면서 이고 지는 풍속이 없어지고, 산태도 급격히 없어지게 되었다.

[형태]

산태는 사다리 모양과 둥근 모양의 것이 동시에 전승한다. 사다리 모양의 산태는 긴 나무 두 개 사이에 가로장을 띄엄띄엄 박아 만든다. 두 사람이 앞뒤에서 잡아 나르기 좋다. 둥근 모양의 산태는 직경 2 cm의 넝쿨로 둥근 에움을 만들고, 그것에 의지하여 직경 0.7cm의 넝쿨을 얽어 묶는다. 혼자서 배에 걸쳐 돌멩이를 나르기 좋다. 달리 ‘돌산태’라고도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돌체는 통시에서 마당까지 거름을 나를 때, 장례를 치를 때 봉분에 쌓아올릴 흙을 나를 때, 그리고 초가집을 지으면서 흙을 나를 때 쓰이는 경우가 많다. 산태로 물건을 나르는 일을 ‘산태질’이라고도 한다. 또한 개간한 밭의 흙을 일굴때 나오는 돌이나 흙 등을 옮길때 사용하기도 하고, 쌀같은 것을 ‘멕'에 담아 옮길때도 썼다. 성읍리에서는 포제를 지낼때 제물로 쓰이는 희생을 옮길때 사용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