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
경상북도 고령군 지역에서 활동한 기업인이자 정치인. 김성곤(金成坤)[1913~1975]의 호는 성곡(省谷)이며, 보성전문학교 상과를 졸업한 뒤 금성방직(金星紡織) 사장, 동양통신(東洋通信)·연합신문사(聯合新聞社) 사장, 쌍용양회·쌍용산업 회장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1958년 제4대 민의원에 당선되면서 정치가로도 활동하였다. 1959년 국민대학교 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하였으며, 196...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정치인. 김홍식(金洪植)[1912~1992]은 본관이 김해(金海)로, 대구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김천보통학교 교사로 5년간 근무하였다. 1954년 5월 20일 시행된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의 공천을 받아 고령 지역 선거구에서 출마하여 8명의 후보와 경쟁한 가운데 당선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정남택(鄭南澤) 후보가 자유당 공천을 받...
-
경상북도 고령군 지역에서 활동한 정치인. 박순천(朴順天)[1898~1983]은 지금의 부산광역시 기장군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본명은 박명련(朴命連)이다. 한학자인 박재형의 무남독녀로, 일찍부터 기독교에 입교하였다. 1917년 동래의 일신여학교를 졸업한 뒤 마산의 의신여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교육 활동과 정치 활동을...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정치인. 유상호(兪尙浩)는 고령 지역의 토성(土姓)인 기계유씨(杞溪兪氏) 주부공파(主簿公派) 후손으로 고령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17년 동안 고령금융조합에 근무하다가 해방 후 고령금융조합장이 되었으며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고령군지부 지부장을 지냈다. 1952년 5월 10일 제헌헌법 제97조에 따라 시행된 지방자치 선거에서 61명을 뽑는 초대 경상북도 도...
-
일제 강점기 고령 출신의 친일 승려이자 언론인. 장도환(張道煥)[1903~?]은 지금의 고령군 쌍림면에서 태어났다. 경상남도 하동군 쌍계사에 적을 둔 승려이며, 금성(金城)이라는 필명으로도 활동하였다 장도환은 1926년 일본 도쿄 유학 중 재일본조선불교청년회라는 재일(在日) 유학승(留學僧) 모임의 간부를 맡았고 기관지 『금강저(金剛杵)』 발행에도 참여하였다. 1932년 와세다대학[...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정치인. 정남택(鄭南澤)[1912~]은 본관이 연일(延日)이며, 그의 아버지는 고령면[현 대가야읍] 내 자산가 정운한(鄭雲漢)이다. 정운한(鄭雲漢)정운한은 1920년과 1936년 대홍수를 겪으며 물이 넘쳐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된 다섯 개의 마을 주민들을 위해 마을을 흐르는 하천 양쪽에 제방을 쌓았다. 일찍이 일본으로 유학하여 교토 동사중학교를 졸업한 후 리...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정치인. 조일환(曺逸煥)[1916~]은 본관이 창녕(昌寧)으로, 지금의 고령군 다산면에서 태어났다. 조일환은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학부를 졸업하고 귀국한 후 한동안 대구대학[현 영남대학교]에서 강사 생활을 하였다. 1958년 5월 2일 시행된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인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출마하면서 정계에 투신, 대구시 남산동·대명동·봉덕동·대...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정치인. 홍영희(洪永熹)는 지금의 고령군 개진면에서 태어났다. 해방 후 자유당 고령군지부 부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1956년 8월 8일 시행된 제2대 경상북도 도의원[참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입후보하여 당선됨으로써 1960년까지 고령군 출신 도의원으로 활동하였다. 당시 도의원은 무보수 명예직이었으며, 제2대 경상북도 도의원은 총 61명이었다. 정당별로는 자...
행정인
-
경상북도 고령군 지역에서 활동한 행정가. 김정근(金正根)[1916~]의 호는 우영(宇瑩)이며,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났다. 중앙고등보통학교와 일본 메이지대학[明治大學] 법학부를 졸업한 후 문경군수를 지냈다. 1948년에는 이홍직(李洪直)의 후임으로 제2대 고령군수가 되었지만, 5개월 만인 1949년 2월 퇴임하였다. 이후 광업과 상업에 종사하다가, 1958년 5월 2일 시행된 제4...
-
경상북도 고령군 지역에서 활동한 경찰. 송운(宋雲)은 미군정기인 1947년 7월부터 1948년 8월까지 고령경찰서장을 역임하면서 지역의 치안 업무를 담당하였다. 지역 주민의 화합에 역점을 두고 운동 경기를 권장하여 좌익과 우익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분위기를 이끈 것으로 평가된다. 당시 고령 지역에서는 박헌영 계열의 좌익 세력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청·장년 가운데 사...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사회운동가. 8·15해방으로부터 미군정이 시작되는 10월 중순까지 2개월간은 치안이 극도로 불안한 시기였다. 일제강점기 주민의 자유를 억압하고 수탈과 고문을 일삼았던 경찰에 대한 불신 때문에 경찰 업무는 조직화된 지역 조직이 접수하였는데, 고령에서도 8월 15일 이튿날 치안대가 조직되었다. 치안대는 60여 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99식 장총을 지니도록 하...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행정가. 1945년 10월 미군은 경상북도를 접수한 뒤 일본군의 무장 해제, 김대우(金大羽) 지사를 비롯한 일본인 관리의 파면과 함께 한국인 관리의 임용을 단행하고 도내 각 군청을 접수하여 11월 13일 도내 전역에 군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고령군은 달성군, 성주군과 더불어 미 제34 군정대 관할이 되었고, 고령 출신 이홍직(李洪直)이 초대 고령군수에 임명되...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행정가이자 정치인. 정희택(鄭喜澤)[1919~2000]은 본관이 연일(延日)로, 지금의 고령군 고령면[현 대가야읍]에서 태어났다. 정희택은 1942년 일본 주오대학[中央大學]을 졸업한 후 고등문관 시험에 합격하였다. 1946년 사법부 감찰관을 시작으로 서울지방검찰청 검사와 부장검사, 대구지방검찰청 및 부산지방검찰청 차장검사, 대구고등검찰청과 서울고등검찰청 차...
기업인
-
개항기 고령 출신의 부상단(負商團) 반수(班首). 유의순(兪義淳)[1824~1885]의 초명은 도인(道仁)이며, 홍순(弘淳)으로도 불렸다. 고령 지역의 토성(土姓)인 기계유씨(杞溪兪氏) 주부공파(主簿公派) 후손이다. 유의순은 고령 관아의 아전(衙前)으로 일하다가 1874년부터 1883년까지 10년간 고령 일대의 오일장을 장악한 지역 부상단의 반수를 맡아 하였다. 행상 조직이던 조선...
-
경상북도 고령군 지역에서 활동한 기업인. 이경용(李慶容)[1911~]은 일본 가와사키중학교[川崎中學校]를 졸업하였으며, 해방 이후 생사(生絲) 업체인 대구 옥균공업(玉菌工業)과 경북잠사공업주식회사를 경영하였다. 그 후 달성제사공업주식회사의 후신인 대구 달성산업 대표를 역임하였으며, 대한잠사회 경상북도지회 지회장, 한국생사수출조합 이사장으로도 활동하였다. 경북잠사공업주식회사와 달성제...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군인이자 기업인. 이맹기(李孟基)[1925~2004]는 본관이 전주(全州)로, 호는 해성(海星)이다. 지금의 고령군 개진면에서 태어났다. 이맹기는 해군사관학교를 제1기로 졸업하였다. 해군포술학교 초대 교장, 함대 사령관, 제6대 해군참모총장[1962~1964]을 역임하다가 1964년 해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 직후 국내 최대 해운 회사인 대한해운공사 사...
-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기업인. 정춘택(鄭春澤)은 본관이 연일(延日)로, 자산가인 정운한(鄭雲漢)의 아들이며 정희택(鄭喜澤)·정남택(鄭南澤)과 형제 사이이다. 중앙에 감사원장, 국회의원 등으로 진출한 형제들과 달리 지역 유지로서 일관하였다. 일제강점기 고령면[현 대가야읍] 내에 농기구 판매업소인 농민상회(農民商會)를 설립하여 박광수(朴光壽)와 함께 운영하면서 탈곡기·제초기 등 개량...